[미디어펜=이원우 기자]중소기업 176곳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법정관리 등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됐다.
금융감독원(원장 진웅섭)은 6일 '2016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올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176곳으로 작년보다 1곳 늘었다고 밝혔다.
|
|
|
▲ 금융감독원은 6일 '2016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하면서 올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176곳으로 작년보다 1곳 늘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몰아닥쳤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최대 규모다. 특히 이들 기업 중 제조업체 비중이 70%를 넘어서 우려를 더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는 상장사도 2곳 포함돼 있다.
2011년 77곳이었던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은 2012년 97곳, 2013년 112곳, 2014년 125곳 등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한 해 3차례나 신용위험평가를 단행해 한계기업을 정리했던 2009년(512곳)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신용위험도는 A∼D 네 등급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C‧D등급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된다.
올해는 부실 징후가 있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 중소기업이 70곳으로 작년보다 1곳 늘었다. 이들 기업은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개월 내로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 자구안을 제출해야 한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사실상 '퇴출 대상'인 D등급 기업은 105곳으로 작년과 같았다. D등급 기업은 채권은행의 추가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하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가야 한다.
C‧D등급 기업이 작년보다 1곳 늘었지만, 신용위험 평가 대상이 된 기업(2035곳)은 100곳 넘게 증가했다. 재무상태가 나빠진 중소기업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뜻이다.
한편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면서 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 부담도 점증하고 있다. 9월 말 현재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에 금융회사들이 빌려준 자금 규모는 1조9720억원 수준이다.
은행들이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기업 부실에 대비해 더 많은 대손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번 신용위험평가로 은행들이 추가로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 규모는 3200억원 수준이다.
새로운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채권은행들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여신을 중단하거나 여신 한도‧금리를 변경하는 등의 조처를 취해야 한다.
금감원은 채권은행이 구조조정 기업에 대한 사후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이번 주부터 신용평가사와 공동으로 현장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