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지난 2004년 4월1일 첫 운행을 시작한 KTX가 올해로 개통 13주년을 맞았다. 올해 말 서울-강릉 간 고속철도까지 개통되면 그동안 소외됐던 강원지역까지 포함한 '전국 반나절 생활권'을 실현하기 직전에 이르렀다.
KTX의 운행 성과를 돌아보면, 그동안 KTX는 누적 운행거리를 지구 8325바퀴 거리인 3억3000만㎞를 기록하며 총 5억8000만명을 싣고 달렸다. 첫해 약 7만명에 불과했던 1일 이용객은 2017년 1월1일 기준 약 18만명으로 2.5배 증가했다. 연간 이용객도 개통 초기 약 2000만명이었던 것이 6000만명으로 크게 늘었다.
운행 횟수는 2004년 142회에서 지난해에는 264회로 증가했다. 개통 당시 경부선·호남선만 운행하다 지난 2011년 전라선, 2015년 호남고속선 등을 잇따라 개통한 데 따른 것이다.
|
|
|
▲ 지난 2004년 4월1일 첫 운행을 시작한 KTX가 올해로 개통 13주년을 맞았다./사진=연합뉴스 |
이용객 증가는 운행 횟수에 이어 열차 보유 대수 증가도 불러왔다. 첫 운행 당시 코레일에서 운영한 열차는 총 46편성에 그쳤고 종류도 프랑스 알톰사의 TGV 레조를 기반으로 하는 KTX-1 1종에 불과했다.
그러나 코레일은 이후 2010년 현대로템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KTX-산천을 투입하고 2015년 신형 KTX-산천(호남산천)을 추가 투입하는 등 새로운 고속열차를 연이어 도입, 현재 총 92편성의 열차를 운용 중이다.
또 코레일은 지난해 12월에는 설계최고속도 352㎞/h의 차세대 동력 분산식 고속열차 구입 계약을 체결, 또 250㎞/h급의 동력 분산식 고속열차인 EMU-250열차 구입 계약을 체결해 2020년 말까지 투입할 예정으로 고속화에 부심하고 있다.
고객들의 생활 양식에 맞춘 서비스도 진화했다. KTX 초창기인 2004년 무렵에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사용자가 없어 차내 와이파이나 충전을 위한 환경 자체가 필요치 않았다. 이후 해당 가전들의 사용이 대중화하면서 코레일은 2008년부터 열차 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승차권 구매 방법 역시 초기 역 창구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열차 승차권을 살 수 있었던 것이 2010년 말 최초의 스마트폰용 예매 어플리케이션 '글로리앱' 출시로 한층 편해졌다. 글로리앱은 2013년 '코레일톡'으로, 또 올해 2월 사용자 경험(UX)에 주안점을 둔 '코레일톡+'로 재변신했다.
KTX와 연계한 교통수단 확충작업도 진행돼 코레일은 거점역 중심의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서비스를 목표로 올해 1월11일부터 사당역에서 광명역을 15~20분 내 이동가능한 KTX셔틀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
|
|
▲ 현대자동차는 지난 1월10일 서울시 동작구 사당역에서 경기도 광명시 KTX 광명역을 잇는 코레일의 ‘KTX 셔틀버스’ 사업에 유니시티 11대를 공급했다고 밝혔다./사진=현대자동차 |
연말 개통 예정인 서울-강릉 간 고속철도는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지원하게 될 전망이다. 개통 시 서울에서 1시간30분 만에 강릉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평창올림픽 기간에는 현재 경부선에 일부 투입된 KTX산천 원강선 열차 15편성과 기존 운용하는 KTX, KTX-산천 등 4편성까지 총 19편성을 운용할 예정이다.
코레일 또 지역 렌터카 회사와 비즈니스 모델 공동개발을 위한 협약을 진행할 예정이며 거점역 중심의 시티투어 연계교통망 구축 협의를 지속하는 등 평창올림픽 이후를 준비 중이다.
홍순만 코레일 사장은 "KTX는 13년의 시간 동안 고객의 사랑과 관심 속에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잇는 한국 교통망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며 "세계적인 종합 교통서비스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