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새정부 일자리 창출은 말로만하나...”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을 두고 은행권의 난감한 기색이 역력하다.
|
|
|
▲ 문재인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풀어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부으면서, 정작 은행권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토대마련에는 미흡한 점을 보이면서 은행권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사진제공=연합뉴스 |
비대면 거래 확산 등 금융환경의 변화로 최근 은행권은 영업점과 임직원수를 꾸준히 줄여왔던 터다. 은행권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의 임금체계 개편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풀어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부으면서도 정작 은행권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토대마련에는 미흡한 점을 보이면서 은행권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 은행권이 동참하기 위해서는 성과연봉제 도입이 시급하다. 하지만 새 정부가 전 정권의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면서 은행권의 딜레마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은행권은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온라인과 모바일 등을 통한 비대면 금융거래가 확산되면서 수익개선을 위해 불가피하게 은행지점과 직원수를 줄여왔다. 여기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출범으로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비대면 채널 강화로 인력 수요가 급감하면서 은행권의 최근 신규 행원 채용도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실제 2015년 2500여명에 달하던 6대 시중은행의 신입 행원 정원은 지난 1100여명으로 껑충 내려앉았다.
금융환경이 급변하면서 영업점과 직원수 축소를 통한 비용절감은 디지털 시대에 은행이 살아남기 위한 선택인 셈이다.
이와 관련해 은행권은 현재의 임금체계 개편 없는 신규 직원 채용은 어불성설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임금 유연성이 제고돼야 신규직원을 추가로 채용할 수 있고, 새 정부가 원하는 일자리가 마련된다는 얘기다.
앞서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은 지난 달 2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근속연수에 따라 자동으로 임금이 오르는 호봉제는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금융권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임금체계의 유연성이 필요하다”며 성과연봉제를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 정부가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붓고 있는 만큼 업권을 불문하고 정부의 국정 최우선 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부응하려고 할 것”이라며 “은행권의 임금 유연성이 먼저 제고되지 않고선 신규 직원 채용은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