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 등 중동 4개국은 5일 국제사회의 이란 적대정책을 비판한 카타르와의 국교를 단절한다고 선언했다.
사우디 국영 통신SPA는 이날 "극단주의와 테러리즘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여러 종파적 조직과 테러조직을 포용하는 카타르와 외교관계 단절을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UAE·이집트·바레인 정부도 카타르가 테러리즘을 후원하고 '내정 간섭'을 해 단교한다는 성명을 냈다. 걸프 국가들은 '내정 간섭'이라는 표현을 자국내 시아파를 선동하는 이란을 겨냥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국가는 단교 발표 직후 자국은 물론 카타르 육로 통행은 물론 항공기·선박의 왕래를 전면 차단했다. UAE와 이집트는 자국내 카타르 국적자에게 48시간 이내에 떠날 것을 지시했고, 사우디는 예멘 내전에 참전했던 카타르군 병력이 철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카타르 정부는 "아랍국가들의 외교관계 단절은 정당화할 수 없는 유감스러운 조치"라며 비판했다.
|
|
|
▲ 사우디아라비아·바레인·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 등 중동 4개국은 5일 국제사회의 이란 적대정책을 비판한 카타르와의 국교를 단절한다고 선언했다./사진=구글 지도 |
종파(수니파)·혈통적인 동질성·사우디의 '큰 형님' 리더십과 더불어 산유국이라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같은 걸프 지역 국가들이 이렇게 첨예한 갈등을 빚는 것은 이례적으로, 카타르가 이란 및 이슬람주의 정파 '무슬림형제단'·시아파 무장단체 '헤즈볼라'와 긴밀하다고 의심되는 것이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앞서 걸프국가들은 무슬림형제단이 정권의 존립을 위협한다며 테러조직으로 지정했지만 카타르는 이들에게 우호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고,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현 대통령이 2013년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무슬림형제단의 일부가 카타르로 도피, 카타르는 이들을 사실상 보호했다.
이후 사우디 등의 압박으로 국외추방했지만 이 과정에서 2014년 3월 사우디·UAE·바레인은 카타르 주재 자국 대사를 소환하는 등 외교 마찰이 발생했다. 또한 카타르는 미국 및 이들 4개국과 갈등 관계인 이란과도 대화채널을 유지, 주변국과 종종 마찰을 빚어왔다.
이번 단교 조치는 3년 전 자국 대사 소환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는 점에서 걸프의 결속을 해칠 수 있는 카타르의 독자 노선을 확실하게 제압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