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부채가 있는 가구는 1년 버는 돈의 3분의 1 이상을 빚값는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가계부채 상환방식을 거치식에서 분할상환식으로 바꾸면서 가계의 상환부담이 증가해 민간소비에도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예산정책처가 6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부채보유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35만원, 원리금 상환액은 평균 1548만원으로 집계됐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중이 33.4%에 달해 사상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지난 2010년에 부채가 있는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3464만원이었고 이중 826만원을 원리금을 상환하는데 써 빚값는 비중이 23.9%였던 것과 비교할 때 9.5%포인트 높아졌다.

이처럼 빚 갚는 비중이 높아진 것은 6년간 처분가능소득은 33.8% 증가한 반면 원리금상환액 부담은 87.4%나 급증한데 따른다.

또 빚 자체가 늘어난 것도 있지만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대책에 따라 거치식에서 분할상환식으로 부채상환방식을 바꾸면서 가계의 상환부담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주었다.

가계부채 중 분할상환 비율은 2010년에는 6.4%에 불과했지만 2015년 38.9%, 지난해에는 45.1%로 늘었다.

이처럼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면서 반대로 지출가능 소득은 줄어 내수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예산처 관계자는 “가계 평균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증가할수록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며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더 커질 수 있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