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치매 국가책임제 도입을 제시한 이후, 새 정부는 그 일환으로 치매의 건강보험 보장률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중증 치매환자의 의료비 부담은 완화되겠지만, 앞서 궁극적으로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논의부터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65세 이상 노인 치매 유병률은 9.2%이며 환자 수는 54만 1000명으로 추정된다. 2050년 65세 이상 노인 치매는 약 271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갈수록 증가 추세를 보이는 치매는 다양한 발병요인이 있다. 그 중 우울증은 많은 치매 환자들이 갖고 있는 과거 병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치매 환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우울증의 과거 병력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청·장년기(45세 이전)에 발병한 우울증보다 후기(45세 이후)에 발병한 우울증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대부분은 80대에 집중돼 있는 반면, 우울증 환자는 50~70대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증이 치매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정택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궁극적인 치매 예방을 위해선 치매의 전조 정신질환인 우울증에 대한 다각도의 관리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공·사 건강보험이 향후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질환에 대한 건강검진을 강화하고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국민들의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며 “치매의 건강보험보장성 강화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울증과 같은 치매의 전조 정신질환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울증 등 정신질환과 관련한 건강보험 보장 강화가 이뤄지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신병에 대한 진단자체가 애매하기 때문에 보장 상품을 만들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아직까진 우울증에 대한 보장 상품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