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각형 조직 문화 개선돼야…"조직 슬림화 필요"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금융감독원의 일반관리비가 2014년 이후 매년 100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대부분의 비중은 인건비가 차지했으나, 금감원 직원 수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돼 금감원의 역삼각형 지배구조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 될 것으로 보인다.

   
▲ 사진=미디어펜


10일 금감원 결산분석에 따르면 일반관리비는 2014년 2657억600만원에서 2015년 2815억7000만원, 2016년 2988억2200만원으로 증가했다. 2017년엔 3059억5300만원으로 3000억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인건비는 2014년 1761억6196만9091원을 차지했다. 이후 2015년엔 1837억9338만1959원을, 2016년엔 1917억6326만7111원을 기록했으며, 2017년엔 2028억9238만9918원으로 2000억원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해당 기간동안 금감원의 직원 수는 그닥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4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감원의 조직원은 1855명이다. 2015년엔 1848명으로 오히려 2014년에 비해 인력이 감소했다. 2016년엔 1868명, 2017년엔 1957명으로 증가했다. 인력은 고작 89명 늘어난데 비해 인건비는 100억원 이상 불어난 셈이다.

앞서 감사원은 금감원의 기관운영감사 당시 “금감원은 1999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과다한 상위직급의 인력을 감축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 2017년 3월 전 직원 중 1∼3급 직원이 45.2%에 달하고 있고 1·2급 직원 중 63명은 무보직 상태로 팀원 등으로 배치됐다”며 “방만한 조직‧인력 운영에 대해 상위직급 감축, 부서 통폐합, 국외사무소 전면 정비‧폐지, 정원 외 인력 최소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감독원이 4개 기관으로 통합되면서 상위직급도 함께 통합돼 비율이 많은 것 뿐”이라며 “취업제한 강화로 인해 3년간 관련 기관으로 재취업을 할 수 없어 정년을 채우는 비율도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력직 직원 역시 총 정원 가운데 20% 이상 뽑아야 하기 때문에 상위 직급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지난해부턴 법령 개정과 관련 감독원의 업무가 늘어나 인건비가 증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금감원 인사 조직은 정체가 많이 돼 있는 상황"이라며 "금감원이라는 조직이 금융기업들을 감독한다는 기능 때문에 오히려 민간기업에서 필요한 업무효율성의 잣대가 필요하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감원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선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고임금 받는 직원들이 스스로 임금 줄여나가고, 줄어든 임금으로 젊은 직원들 채용해 조직의 활력을 불어넣는 방법이 있다"며 "각 부서 역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민들의 수요가 없는 부서는 통폐합 하는 등 조직 슬림화 방향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