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15조6292억… ‘신가전’의 수요 급증
생활가전 최대…분기 매출액 6조 처음 돌파
[미디어펜=조우현 기자]LG전자가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조6292억원, 영업이익 6523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4% 감소했다. 매출액은 2분기 기준, 상반기 기준 모두 역대 최대다. 

부문별로는 생활가전 사업이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등 이른바 ‘신가전’의 수요 급증으로 매출 6조102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분기에 세웠던 역대 최고 기록(5조4659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LG 트윈타워 전경 /사진=미디어펜


‘신가전’이 또 기록 경신…TV는 전년만 못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가 매출액 6조1028억원, 영업이익 7175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분기 사상 첫 6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북미, 유럽, 중동아프리카 등 해외 전 지역의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6.1% 늘었다.

영업이익은 해외 전 지역에서 골고루 매출이 늘어난 가운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무선청소기 등 시가전의 판매 확대, 에어컨의 성수기 진입, 원가구조 개선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4%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11.8%)은 2분기 기준 가장 높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6712억원, 영업이익 205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유럽, 중남미 등에서 수요가 줄며 대형 스포츠 이벤트의 효과를 누렸던 전년 대비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수요 감소로 인한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와 환율 약세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여전히 ‘적자’ 스마트폰 사업…구조개선 추진 중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6133억원, 영업손실 31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5G 스마트폰 ‘LG V50 씽큐’의 판매 호조로 전 분기 대비 증가했다. 다만 4G 및 보급형 스마트폰의 수요 정체로 인한 경쟁 심화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전략 스마트폰 ‘LG G8 씽큐’와 ‘LG V50 씽큐’의 출시로 마케팅 비용이 늘었고 평택 스마트폰 생산라인의 재배치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발생해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LG전자는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 원가절감 등을 통한 사업구조 개선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다. 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후지원을 통해 믿고 오래 쓸 수 있는 스마트폰 브랜드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VS는 영업 손실, BS는 태양광 모듈로 선전

자동차부품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4231억원, 영업손실 558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는 인포테인먼트 사업의 신규 프로젝트 매출 확대, 주요 거래선의 전기차 부품 수요 증가, ZKW 인수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3.1%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추가 신규 프로젝트의 양산 비용 투입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

BS사업본부는 태양광 모듈 사업의 선전으로 매출액 6755억원, 영업이익 581억원을 기록했다. 

태양광 모듈은 유럽과 북미에서 각각 고출력 제품, 가정용 제품 확대 등이 주효했고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프리미엄 중심으로 판매가 늘며 BS본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늘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미래 성장을 위한 선행투자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태양광 모듈 사업은 고출력·고효율 제품의 판매가 확대되고 미국 앨라배마주 헌즈빌 공장이 안정화 되면서 생산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9.0% 증가했다.

경쟁 강도 높아지는 3분기…사업 효율성 높여 극복

LG전자는 에어컨 판매 비수기인 3분기에는 프리미엄과 신성장 제품의 매출 확대에 집중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원가구조 개선과 수익성 기반의 효율적인 자원 투입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도 유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TV시장 역시 수요 정체가 예상되지만 LG전자는 올레드 TV, 슈퍼울트라HD TV,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TV는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이에 맞춰 프리미엄 TV 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원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적자를 면치 못한 MC사업본부는 5G 스마트폰과 경쟁력 있는 보급형 신모델을 앞세워 매출을 늘릴 계획이다. 듀얼 스크린은 시장과 고객으로부터 사용성과 편의성을 인정받은 만큼 LG만의 차별화된 강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 둔화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VS사업본부는 대외 환경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인 부품 공급과 신규 프로젝트의 원가 절감에 집중할 계획이다. 

BS사업본부도 프리미엄 사이니지 제품의 판매를 늘려 성장과 수익을 동시에 확보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