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점관리지역' 차단 벨트 확대 등 추가대책 준비 중
   
▲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사진=농식품부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경기도 파주는 물론 한강 이남인 김포에서도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정부의 방역망이 뚫린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발병지 4곳이 서로 차량 '역학관계'가 있으며, 이 역학관계는 경북과 전남 등 남부지방까지 퍼져 있어, 전국 확산의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돼지열병이 최초로 발병한 파주시 연다산동 소재 돼지농장과 2~4호 발생지인 연천군 백학면, 김포시 통진읍, 파주시 적성면 소재 돼지농장들 간에는 차량 역학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발생 돼지농장을 드나들었던 사료.분뇨.도축장 차량들이 2~4호 발병 농장도 출입했던 것.

뿐만 아니라, 역학관계가 경북과 전남에서도 확인돼, 걱정을 더하고 있다.

물론 정부는 모든 역학관계에 있는 농장들에 대해 21시간 돼지 및 분뇨 반출금지 조치를 시행 중이고, 남부지역의 역학관계 농장들은 3~4곳 정도라며, 큰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한다.

정부는 이들 농장은 물론, 파주.연천.김포.포천.동두천 및 강원도 철원 등 6개 시군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 타 지역으로의 돼지와 분뇨 반출을 3주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3차로 발병한 김포농장의 경우, 정밀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고도 돼지열병 확진이 되면서, 초기 대응이 부실해 방역에 '구멍'이 뚫린 사례다.

또 경북 군위의 한 돼지농가에서 돼지열병 4차 발생 파주 농가에 돼지를 출하한 것으로 조사된 것도, 남부지역의 걱정을 키우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중점관리지역 확대를 비롯한 추가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병홍 농식품부 식품산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아직까지 정부의 방역망이 뚫렸다고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추가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우선 김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온 만큼, 인근 인천시 강화군, 고양시 등에 대한 중점관리지역 확대가 전망된다.

현재 인천시 강화 및 옹진군, 경기도 고양시와 양주시 등 8개 시군은 '접경지역'으로 분류돼 중점관리지역 다음으로 중요한 곳으로 관리되고 있다.

박 실장은 "중점관리지역에 차단벨트를 형성하고 있는데, 추가 벨트 형성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