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8K TV 구매 고객에 업그레이더 무상 제공한다"
삼성전자 "현재 판매 중인 TV 8K 아닌 것 인정하는 꼴"
[미디어펜=조우현 기자]LG전자가 자사 8K TV 구매 고객에게 8K 영상 재생을 위한 ‘업그레이더’를 연내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히면서 8K TV ‘코덱’ 공방전이 불거졌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앞서 삼성전자는 LG전자 TV가 HEVC 코덱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코덱은 디지털 신호를 영상이나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TV나 스마트폰 등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때 필요하다. 특히 8K 해상도를 지원하는 코덱은 이제 막 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LG전자는 초고화질용 코덱 AV1, VP9 등을 지원하는 업그레이더를 제공하면서 반격에 나섰다. 당초 LG전자는 8K TV를 출시할 때만 해도 별도의 코덱을 TV에 제공하지 않았다. 아직 8K와 관련한 표준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LG전자는 업그레이더를 설치하면 초고화질용 코덱인 AV1, VP9 등을 지원해 유튜브에서 8K 영상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내년에 출시하는 8K TV 신제품에는 HEVC, AV1, VP9 등의 코덱을 내장해 8K에 대응할 계획이다.

   
▲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LG전자 TV소프트웨어플랫폼개발실장 이강원 상무가 'LG 시그니처 올레드 8K'에서 유튜브 사이트의 8K 영상재생 기능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이에 삼성전자는 “8K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것이 알려지자 뒤늦게 별도의 외부장치를 연내에 제공하겠다고 하는 것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8K TV가 아님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튜브 8K 재생과 관련해서는 “삼성전자는 유튜브와 호환 코덱에 대해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양사의 이 같은 공방은 8K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고군분투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OLED TV보다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QLED TV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LG가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IHS는 QLED TV 연간 판매량이 545만100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269만2000대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반면 OLED TV는 지난해 251만4000대에서 올해 300만대로 19.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때문에 8K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양사의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