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상준 기자] 아우디가 자율 주행 관련 사용자의 정서적 배경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각) 아우디 독일 본사는 “자율 주행 동향”이라는 연구를 통해 “기술을 의심하는 운전자”에서 “기술에 정통한 탑승자”까지 자율 주행을 대하는 사용자의 유형을 정의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
|
|
▲ 아우디, 자율주행 사용자 측면 '정서적 연구 결과' 발표 / 사진=아우디 |
아우디는 시장 조사 기관인 입소스(Ipsos)와 협력하여 3개 대륙 9개 국가 2만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나이가 어리고, 고소득, 고학력이면서 “사회적 신분을 중시하는 트렌드 세터” 및 “기술에 정통한 탑승자”는 대다수가 자율 주행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이가 많고, 비교적 낮은 수입, 저학력이면서 “신기술을 의심하는 운전자”는 대다수가 자율주행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안전 중심의 소극적 이용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율 주행 기술에 충분한 경험을 쌓은 후에만 자율 주행을 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설문의 답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그룹인 “개방적 협력 운전자(co-pilot)”들은 수시로 차량의 통제가 가능한 경우 기본적으로 자율 주행에 열려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우디는 2015년부터 자율 주행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를 검토해 왔으며, 이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주장, 정서, 가치 및 라이프 스타일이 어떻게 자율 주행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지 조사하고 있다. 그 결과는 크게 3개의 축으로 나타나며 정서적 배경, 인간적 준비성 지수 및 사용자 유형으로 구성된다.
◇높은 수준의 호기심과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우려의 공존
자율 주행에 대한 정서적 배경은 복합적 태도를 보여주는 반면, 전 세계적으로 자율 주행에 대한 강한 관심 (82%) 과 호기심 (62%)을 드러내고 있다.
첨단 기술의 측면에서 응답자들은 모빌리티에 대한 액세스 향상 (76%), 편의 향상 (72%), 안전 개선 (59%)에 이르기까지 개인과 사회를 위한 잠재력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이 자율 주행 테스트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반면,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 (70%), 불가피한 상주 위험 (66%) 등 우려 또한 명확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 중 41%는 자율 주행 기술을 의심하고 약 3분의 1 (38%) 은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으며, 차량 제어권을 넘길 의향이 있는 상황으로는 자율 주차 및 고속도로상의 교통 혼잡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또한, 단 8% 만이 “자율주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고 응답해 자율 주행에 대한 지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젊은 세대 및 고소득 계층의 만족도
인간적 준비성 지수 (HRI: Human Readiness Index)는 자율 주행에 대한 태도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심층적 정보를 제공하며, 자율 주행 차량 이용에 대한 지식, 관심도, 정서 및 준비도를 결합하여 -10~+10 범위의 수치 지표로 나타낸다.
조사 결과는 응답자의 연령이 낮고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율 주행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임을 나타냈으며, 조사 대상 국가 간의 차이점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국인 (HRI +5.1) 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한국인 (HRI +1.2) 들 역시 기술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평균 이상의 수준이었다.
유럽의 경우 스페인과 이탈리아인 (모두 HRI +0.7) 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독일인과 프랑스인들은 비교적 소극적 (모두 HRI -0.7) 이었다. 미국인, 일본인 및 영국인들 (모두 HRI -0.9) 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자율 주행에 대한 태도와 라이프 스타일의 상관 관계
인간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자율 주행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사용자 유형은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 분석에서 다섯 가지의 사용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신기술을 의심하는 운전자”는 기존의 환경을 고수하면서 자율 주행은 완전히 정착된 후에만 이용하고자 하며, “안전 중심의 소극적 이용자"도 자율 주행에 대해 매우 꺼려하는 태도를 취한다.
이들은 자율 주행 차량은 먼저 몇 년간 충분한 테스트를 거친 후에 공도 사용을 허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방적 협력 운전자”는 이 기술의 이점을 인식하면서 업계, 과학계 및 정치권에서 차량의 안전한 공도 이용을 위한 조치를 취하기를 바라고 있다.
“사회적 신분을 중시하는 트렌드 세터”는 자신들의 진취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유로 자율 주행 차량에 열의를 보이고 있으며, “기술에 정통한 탑승자”는 자율 주행 기술을 신뢰하며 이 기술이 사회 전반에 전파 되기를 원하고 있다.
토마스 뮬러 아우디 AG 섀시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 담당는 “자동화 및 자율 주행은 우리의 모빌리티 지속가능성을 개선할 잠재력을 지닌다”고 말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기술적 발전과 함께 사람들에게 확신을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본 연구 결과는 자율 주행을 둘러싸고 사람들의 관점을 비롯해 사회 속에 최신 기술에 대한 올바른 기대를 정착시킬 수 방안에 관해 독보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상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