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물이 되는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 [사진=문화재청 제공] |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하얀빛이 감도는 백자에 푸른 안료로 그린 매화·새·대나무 그림이 있는 조선 전기에 제작된 백자 항아리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이화여대박물관의 조선 전기 '백자 청화매조죽문(靑畵梅鳥竹文) 항아리'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9일 밝혔다.
높이 27.8㎝인 이 백자는 15∼16세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청화 물감은 코발트 안료로, 아라비아에서 들여와 회회청(回回靑)이라 부르기도 했다.
조선은 초기에는 청화백자 안료로 중국 수입품을 사용했으나, 1463∼1469년에는 국산 제품을 썼다고 알려졌다.
백자 그림은 매화를 크게 배치해 화려한 느낌을 주고, 다양한 모습의 새를 생동감 있게 묘사했으며, 먹으로 농담을 표현하듯 청화 안료의 색조와 분위기를 잘 살렸는 데다 회화 기법의 수준이 높아, 도화서 화원이 제작에 참여한 관요(官窯) 자기로 짐작된다.
뚜껑이 본래 있었다고 판단되나, 현존하지는 않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국보 제170호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와 비교하면 정제된 태토(胎土·바탕흙)와 문양은 비슷하나, 뚜껑이 없다.
문화재청은 백자 청화매조죽문 항아리에 대해 "사용 계층과 제작 물량이 한정돼 희소성이 있다"며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됐고 중국 영향을 벗어나 조선 고유의 청화백자를 제작할 무렵의 특징을 이 백자가 보여준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 문화재청은 조선시대 풍수지리서인 '지리전서동림조담'(地理全書洞林照膽)과 대승불교 경전인 원각사 소장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2'도 각각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지리전서동림조담은 중국 오대 시기 인물인 범월봉(范越鳳)이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 천문·지리 업무를 담당한 관상감(觀象監) 관원을 선발하는 과거인 음양과(陰陽科) 시험 과목으로 채택되기도 했으며, 중국에서는 주술적 요소 등으로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았으나, 조선에서는 고유의 풍수관을 지닌 자료로 인정됐다.
이 책은 상권과 하권 22편으로 구성되며, 조선이 처음 만든 금속활자인 계미자로 인쇄했고, 서문과 발문 및 서적 기록인 간기(刊記)가 없으나, 계미자 중자(中字)를 쓴 점으로 보아 태종 연간(1400∼1418)에 인쇄된 것으로 보인다.
음양과 풍수지리서가 사마과 수험서인 유학 서적에 비해 전래본이 적고, 계미자로 인출됐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대불정수능엄경', '능엄경'으로 불리기도 하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전체 10권이나, 보물로 지정 예고된 책은 권1∼2 뿐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승려 신총에게 글씨를 쓰게 한 뒤, 1401년 제작한 목판으로 찍었고, 15세기 말까지 사용된 한글인 '반치음'과 옛이응 자가 남은 점과 교정 흔적 등으로 미뤄, 15세기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759호로 지정된 동일 판본의 누락본을 보완할 수 있고, 한문을 우리말로 읽을 수 있도록 문장 사이에 달아놓은 석독구결이 있어 중요한 자료로 인정됐다.
문화재청은 보물 지정이 예고된 문화재 세 건에 대해 30일간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