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순익 7000억 넘겨…4년째 1위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국내 주요 증권사들의 작년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국내외 증시 불확실성이 급증한 상황에서도 국내 증권사들은 대체로 호실적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투자증권은 투자은행(IB) 부문과 자산운용 부문 수익증대에 힘입어 4년 연속 순이익 기준 업계 1위를 수성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작년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이 역대 최대 실적을 공시하면서 4년 연속 증권업계 순이익 1위를 지켰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된 한국투자증권의 작년도 영업이익(연결기준)은 8653억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34.3% 늘어났다.

   
▲ 사진=연합뉴스


매출액은 10조 2200억원으로 27.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 역시 7099억원으로 42.2% 늘어난 모습이다. 국내 증권사 연간 순이익이 7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한투증권이 최초다. 회사 측은 “IB 부문과 자산운용 부문 수익이 늘어나 전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순이익 기준으로 2위를 기록한 회사는 미래에셋대우로, 작년도 순이익은 663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3.66% 늘어난 수준이다. 또한 영업이익은 약 7272억원으로 전년보다 41.95% 늘어났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미래에셋대우가 전년보다 16.00% 늘어난 15조 4561억원을 공시해 업계 1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대우 역시 IB 부문 수익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회사 측은 “해외 비즈니스와 IB 수익 증대 등으로 당기순이익과 자기자본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작년도 순이익 3위는 메리츠종금증권이 차지해 눈길을 끈다. 메리츠종금은 작년 연결 기준 순이익 5545억원, 영업이익 6799억원을 공시했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11조 9126억원, 5546억원을 기록해 각각 36.3%, 27.8% 커졌다. 

특히 메리츠종금은 순이익 측면에서 지난 2018년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지 1년 만에 다시 한 번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국내외 부동산, 선박, 항공기, 해외 인수·합병(M&A) 인수금융 등 다양한 대체투자 분야에서 신규 수익원을 발굴하면서 수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NH투자증권의 경우 작년 연결 영업이익이 약 5754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6.5% 늘어났다. 매출액은 11조 5035억원으로 24.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4764억원으로 31.8%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증권은 작년도 연결 영업이익 5175억원을 공시하면서 전년보다 13.0% 늘어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6조 6586억원으로 36.2% 늘고 당기순이익은 3918억원으로 17.3% 늘어났다. 삼성증권 역시 순이익 측면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KB금융 산하 KB증권은 작년 영업이익 3605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44.11% 급증한 모습이다. 매출액은 7조 8862억원으로 전년 대비 18.05% 늘었고 순이익은 2901억원으로 52.93% 커졌다. 하나금융지주 산하 하나금융투자의 작년도 영업이익도 전년보다 77.07% 증가한 3495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5조 4515억원으로 전년 대비 44.44% 늘었으며 순이익은 2799억원으로 무려 84.59% 급증했다.

이밖에 현대차증권 역시 작년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984억원을 공시해 전년보다 44.5% 늘어난 실적을 냈다. 매출액은 7162억원으로 15.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718억원으로 42.1% 커졌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지난 2018년 기록한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국내 증권사들의 전반적인 호실적은 수익구조 다변화에 기초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올해에도 이와 같은 성공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금융당국이 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에 대해 규제수위를 높이기로 한 점은 큰 변수다. 메리츠종금을 포함해 부동산투자에 적극적인 회사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이 예고되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수년간 증권사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건전한 경쟁을 펼치며 기록적인 순이익을 내고 있다”면서도 “당국의 규제수준이 급격하게 올라간 만큼 변화된 상황에 성공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새로운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