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 얼음 첫 포착, 햇빛 닿지 않는 북극 크레터 속...태양계 생성 비밀 풀릴까?

태양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행성인 수성에서 얼음이 처음 발견돼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와 존스홉킨스 대학 연구팀은 "수성의 북극에서 물로 생성된 '얼음'을 사상 처음으로 촬영하는데 성공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태양광이 닿지않는 북극 크레이터 속에서 포착된 이 얼음은 나사의 수성탐사선 메신저호가 촬영한 것으로 그 양 또한 상당할 것으로 추측된다.

   
▲ 수성 얼음 첫 포착

그간 수성에 상당한 양의 얼음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수차례나 발표돼 왔다. 지난 1992년 레이더 관측을 통해서 처음 제기됐으며 2011년 수성 궤도에 들어가 본격적인 탐사에 나선 메신저호 덕분에 하나하나 사실로 드러났다.

 

메신저 프로젝트에 참여중인 낸시 차봇 박사는 "수성의 얼음이 이미지로 촬영된 것은 사상 처음"이라면서 "크레이터 깊숙한 곳에 순수한 물로 이루어진 얼음 뿐 아니라 유기물질도 얼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고 설명했다.

태양과 가장 가까워 펄펄 끓는 수성에 얼음이 있을 수 있는 이유는 회전축이 태양과 거의 평행선상(0도)에 놓여 있어 북극에는 햇빛이 전혀 닿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나사 측이 탐사선까지 보내 수성 연구에 열을 내는 이유는 '물의 근원'이 태양계 생성의 비밀을 풀어줄 단초가 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물이 풍부한 혜성 혹은 소행성이 수성과 충돌하면서 남겨진 물이 현재 수성의 북극에 '태초의 비밀'을 안고 고스란히 얼어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한편 지난 2004년 발사된 메신저호는 2011년 수성 궤도에 들어가 지금까지 3000주 이상의 주회를 거듭하면서 수성의 지도 제작이나 원소 조성 등의 조사를 진행했다. 현재 메신저호의 주요 관측 임무는 종료된 상태로 앞으로 5개월 안에 연료 소진으로 수성 지표에 떨어져 그 운명을 다할 예정이다.

수성 첫 얼음 포착 소식에 네티즌들은 "수성 첫 얼음 포착, 깜짝이야"   "수성 얼음 첫 포착, 생명체도 있을까?"  "수성 얼음 첫 포착, 얼음이 존재하는 이유도 재밌어"  "수성 얼음 첫 포착, 가져 올 수 없을까?"  "수성 얼음 첫 포착, 메신저호 곧 운명할거라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