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제한, 보유세 강화, 자금출처 조사 등 규제가 수요자 압박
강남에 정부 규제가 집중되는 사이 비 강남지역 풍선효과 누리며 급부상
[미디어펜=홍샛별 기자]강남3구와 용산 등 서울 아파트시장 가격상승세를 리딩했던 선도지역에서 고가주택의 거래비중 크게 줄어든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제한과 더불어 보유세 강화, 자금출처 조사 등 연이어 발표된 강력한 규제가 수요자들에게 압박으로 다가온 것으로 보고 있다.

   
▲ 사진은 서울 강남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20일 직방이 거래시장이 절정기에 이른 2019년 대비 지난해 12.16대책 이후에서부터 2020년 3월까지의 서울아파트 실거래가 자료(4월 16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초·강남 등지에서 15억 초과 고가주택의 비중이 줄어들었다. 

서초구에서 고가주택 거래 비중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19년 53.8%이던 고가주택 거래 비중은 지난해 12·16대책 이후 올해 3월까지 37.5%로 16.3%p나 낮아졌다. 

이어 용산에서도 고가주택 거래 비중이 같은 기간 32.9%에서 23.5%로 9.4%p 감소했다. 강남(-8.0%p)과 송파(-5.8%p)도 기타 자치구보다 하락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반면 9억원초과~15억원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강남(-4.4%p)을 제외하고는 서초(1.1%p), 송파(1.2%p), 용산(2.0%p) 모두 증가했다.

직방 관계자는 “2019년까지 9억초과-15억이하 가격구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곳은 마포·동작·성동·광진이었다”면서 “고가주택에 대한 매수세 감소로 강남3구 및 용산에서 그 비중을 높여가며 9억초과-15억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고가주택 시장을 리딩한 지역의 거래비중 감소는 대출규제, 자금출처조사 등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가 수요자들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에 증여 등 대체거래가 증가하고 비(非)강남권역에서 새로운 고가주택들이 등장한 점도 이 같은 현상을 두드러지게 했다는 분석이다.

직방 관계자는 “강남3구의 고가주택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지속되면서, 거래시장에서 수요자나 공급자 모두 관망세를 보이는 가운데 비(非)강남권역에서 새로운 고가주택들이 출몰하고 있다”면서 “‘풍부한 유동성’과 ‘부족한 신축 공급’, 그리고 ‘저금리’와 같은 가격상승 요인들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투영되면서 새로운 고가주택이 탄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강남3구는 강남구와 송파구, 서초구라는 개별 자치구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역명을 따로 지정할 만큼 그 동안 고가주택시장을 리딩하는 대표성을 지니고 있었다”면서도 “정부의 규제가 집중되고, 재건축 사업도 지지부진한 사이 비(非)강남지역들이 부상했고, 이른바 풍선효과로 서울 전체의 가격이 상승하며 가격의 상향 평준화 양상이 짙어졌다”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