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로 채소류 16.3%↑…전세가격 0.3%↑, 작년 5월 이후 상승폭 최대
   
▲ 마트 친환경농산물 코너 [사진=친환경농산물자조금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지난달 소비자물가가 0.3% 오르면서, 3개월 만에 상승했다.

그럼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및 외식 물가 상승폭 둔화, 무상교육 정책 등 영향으로 4월 이후 0%대의 저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6(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3%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에 12개월 연속 1%를 밑돌다 올해 1∼3월에는 1%대로 올라섰지만, 코로나19 여파가 반영되하면서 4월에 다시 0%대 초반으로 떨어졌고 5월엔 마이너스(-0.3%), 6월에는 보합(0.0%)을 나타냈다.

7월 물가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6.4% 상승했다. 

장마에 따른 출하 감소와 지난해 작황 호조로 가격이 낮았던 데 대한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채소류가 16.3% 상승하며, 농산물 가격이 4.9% 높아졌다. 

특히 축산물은 9.5%, 수산물은 5.2% 각각 상승했는데, 코로나19로 '집밥'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공업 제품은 0.4% 하락했고, 특히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10.2% 떨어져, 전체 물가를 0.44%포인트 끌어내렸다.

통계청은 국제 유가가 4월에 저점을 찍은 뒤 상승 전환했으나, 여전히 전년 동월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수도·가스도 4.5% 떨어져 전체 물가를 0.16%포인트 끌어내렸는데, 국제유가 하락의 여파로 7월에 석유류 가격과 연동되는 도시가스 가격이 함께 내린 영향이다.

이에 비해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0.2%에 불과했다.

공공서비스가 1.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끌어내렸는데, 고교 납입금과 유치원 납입금 무상화 등 정책적 요인이 컸다.

서비스 물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물가 상승률도, 코로나19가 지속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을 자제하며 외식이 줄어든 영향으로, 0.6%에 그쳤다.

집세는 1년 전보다 0.2% 상승했고, 특히 7월 전세 가격은 1년 전보다 0.3% 올라, 지난 2019년 5월(0.3%)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저물가에 대해 "고교 납입금·유치원 납입금 등 무상 교육 정책 요인, 코로나19 이후 4월 저점 뒤 여전히 낮은 수준인 국제유가, 석유류와 연동된 도시가스 가격의 인하,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외식물가 상승폭 둔화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긴급재난지원금이 물가에 미친 영향에 대해선 "돼지고기, 소고기 등 일부 품목 물가 상승에 영향이 있었지만,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0%대에 머물고 있으며,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7% 높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대비 0.4% 올랐으며,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폭 완화, 집세 상승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8.4% 상승, 2018년 11월(10.5%) 이후 최대 상승폭이었고, 특히 신선채소가 16.5%나 올랐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변동이 없는데,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도시가스 가격 인하가 이를 상쇄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