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중.하순 코로나19 재확산, 한은.정부 전망 낮춰...앞으로가 관건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통계청의 인구이동통계만 보면 경제회복이 가시화되는 듯 한데, 문제는 8월 중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 아파트 대단지 [사진=미디어펜]


통계청이 집계하는 일평균 인구이동량은 코로나19 발생 2주차부터 급감하기 시작,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1차 대유행되던 2월 마지막주에는 전년동기대비 70.6% 수준까지 급감했다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6월말~7월 초에는 전년도의 92.7% 수준까지 회복됐다.

이어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는 1년 전보다 1만 9000명 늘어난 58만 3000명으로 집계돼, 7월 기준으로 지난 2015년 62만 7000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이동은 주로 이사 등에 따른 '전입신고'로 발생하며, 주택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7월에는 주택매매와 전.월세 거래량,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이 모두 증가해, 인구이동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이는 부동산경기로, 다시 전체 내수경기로 이어지므로, 인구이동 증가는 경기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경수 국회예산정책처 연구원은 "한국은 'K-방역'을 통해 급격한 인구이동량 감소로부터의 회복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라, 코로나19 이전수준으로의 경제회복도 빠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문제는 이것이 7월까지의 상황일 뿐이라는 점이다.

8월 15일 광화문집회와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재확산이 본격화되면서, 이런 흐름에도 찬물을 끼얹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

실제 정부와 한국은행은 최근의 코로나19 재확산이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한다.

한은은 27일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2%에서 -1.3%로 1.1%포인트 하향조정했는데,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세를 반영한 것이다.

그나마 이는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3단계로 격상될 경우 최대 -2.2%까지 예상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도 올해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인정했다.

김 차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2분기 성장률(-3.3%)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반등 속도 지연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정부가 6월초 발표한 목표(0.1%)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