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신사업 대응 전략 마련 등 미래전략 마련 분주
주요 신산업 경쟁력 하위권 평가…실효적 지원 요구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코로나19 사태가 1년을 넘어가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앞서 신사업 경쟁력이 경쟁국에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일 재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급변하는 시장환경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재편과 신사업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수소전기버스 생산 라인 사진=현대차 제공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인식 변화도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업체 302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사태 1년,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59.6%가 코로나19 종식 이후 경영환경 변화에대해 ‘대응 중’ 또는 ‘계획마련 중’이라고 답했다.

대응기업이 추진하는 방안으로는 ‘신사업 강화’(26.7%)가 가장 많았다. 이어 ‘변화모니터링 확대’(25.0%), ‘사업의 디지털전환’(19.4%), ‘친환경경영 강화’(13.9%), ‘공급망 다변화’(12.8%)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코로나19가 촉발한 ‘디지털화’, ‘무인화’ 등 시장의 변화가 사태 종식과 관계 없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종식이후 경영환경에 대해 ‘코로나로 인한 변화가 ’가속화·확산하거나 코로나때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72.8%에 달했다. 이에 비해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 전망은 27.2%에 머물렀다.

또 기업들은 코로나사태 이후의 변화 트렌드를 ‘기회요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특히 디지털·바이오 등 ‘신산업 부상’에 대해 기대가 높았고 ‘친환경 트렌드 확대’, ‘글로벌공급망(GVC) 재편’, ‘비대면 온라인화’에 대해서도 위기보다 기회로 인식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미래 시장 경쟁력 확보에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효율적인 지원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 한‧미‧중‧일 주요국의 신산업 경쟁력 전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신산업 경쟁력은 5년 이후에도 하위권에 머무를 것으로 예측됐다.

전기‧수소차, 산업용 로봇 등 7개 주요 신산업 분야 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품목의 한‧미‧중‧일 세계시장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5년 전과 현재, 그리고 향후 5년 후에도 1위 산업 개수는 중국 3개, 미국 2개, 일본 1개, 한국 1개로 조사됐다.

한‧미‧일‧중 4국의 신산업 경쟁력을 △전문인력 확보 △핵심원천 기술확보 △연구개발 투자 △신산업 창업 용이성 △정부지원 △안정적 법적기반 등 6개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면, 미국이 인력과 기술 중심의 4개 분야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중국은 정부지원, 안정적 법적기반 등 제도·인프라 중심 분야에서 우위를 나타냈다.

5년 뒤에도 미국이 모든 분야에서 경쟁력 1위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신산업에서 한·중·일과 미국과 상당한 수준의 경쟁력 격차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부족’과 ‘과도한 규제’ 문제를 빠르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 실장은 “AI, 5G 등의 기술혁신 속도가 빨라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급변하는 시장의 변화를 사업모델에 반영할 수 없게 만드는 경직된 제도, 과도한 규제가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해 한국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효적인 지원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