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연장 조치에 따른 여파라는 분석…단순 차익실현일 가능성도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올해 들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 공매도 금지 연장 조치로 외국인 자금 이탈이 더욱 가속화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증시의 투자 신뢰도가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매도는 차익실현일 가능성이 높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이 이어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사진=연합뉴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외국인은 최근 1년간 국내증시에서 31조원 가량 순매도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31조68억원을 팔아치웠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1232억원 매도우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총 22조1807억원 어치를 순매도한 데 이어 올해도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외국인들은 지난해 7월과 11월을 제외하면 월간 기준으로 모두 순매도세를 기록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가 본격화된 지난해 3월에는 11조7299억원을 팔아 치우면서 국내주식시장에서 떠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8개월여 뒤인 지난해 11월에는 6조1175억원을 순매수하며 돌아오는 듯 보였지만 잠시뿐이었다. 지난달 다시 5조3997억원을 순매도하는 등 자금 유출을 지속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국내 증시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증시의 폭락 이후 세계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는 만큼 외국인들의 이 같은 매도세가 예상 밖이라는 반응이다. 

특히 코스피 지수가 연이어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는 등 증시 상승세가 거센 상황에서 외국인들의 ‘팔자’ 기조가 지속되는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 증시의 공매도 금지 조치 연장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사서 되갚는 식으로 차익을 얻는 방식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증시가 급락하자 금융위는 주가 급락을 우려해 공매도를 금지했다. 공매도 금지 조치는 지난해 9월 6개월 더 연장된 데 이어 최근 또 한 번 추가 연장이 결정됐다. 

이로써 지난해 3월 16일부터 시행된 한시적 공매도 금지 조치는 1년 2개월간 이어지게 됐다. 공매도 금지 기간이 1년을 넘어서는 건 사상 처음으로, 대한민국은 세계 최장 공매도 금지 국가가 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공매도 금지의 장기화가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시장에 대한 신뢰도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국내 증시에서 코스피 지수 등이 급격하게 상승했지만 공매도가 없는 상황에서 '주가 상승은 거품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매도 금지 추가 연장 조치는 유동성 감소와 변동성 확대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적절한 위험회피 수단과 변동성 완화 장치가 없는 상황에선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외국인들의 지속적 자금 유출은 차익실현에 불과할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자금 유출은 신흥국 전반에서 진행되는 현상이라기보다는 수익률 높은 국가들 대상의 차익실현 성격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 경우 수익률 키 맞추기 장세 이후 국내 주식시장은 자금 순유입 전환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