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녹색 부양책, 향후 5년간 세계 GDP의 0.3~0.4% 신재생 투자 전망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구원투수'로 등장,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각국 정부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과 '4차 산업혁명'으로 늘어난 전력 수요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민간 참여 확대의 촉매로 작용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지금까지 발표된 글로벌 주요국들의 녹색 경기부양책만 따져봐도, 향후 5년간 해마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0.3~0.4%에 해당하는 자금이 신재생에너지에 투자될 것으로 보인다.

   
▲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인근 태양광발전소/사진=한화큐셀 제공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실질GDP는 오는 2035년까지 매년 평균 0.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인프라 투자 및 환경오염과 온실가스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며, 재정적자는 장기적으로 GDP의 0.2% 수준에 수렴될 것으로, IMF는 관측한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고용 인원은 지난 2019년 1100만명에서 2050년에는 4190만명으로, 약 4배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태양광 분야의 고용 승수 효과가 가장 높으로 것으로 기대된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재생에너지 투자 모멘텀 지속기간은 2년에 불과했지만,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며 "민간이 신재생에너지 투자 주체로 합세하고 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업들의 수요와 네트워크 확산 현상에 힘입어, 전력 수요는 증대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신재생에너지 전환 효과가 가장 큰 지역은 유럽연합(EU)일 것"이라면서 "신재생 인프라가 가장 먼저 구축됐기 때문에, 투자가 고용과 소비로 파급되는 승수효과가 가장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