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 예산 전면 재검토…재정 총량 관리 강화...고용 비대면 전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편성 시, 재량지출의 고강도 지출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 과정에서, 비대해진 재정 총량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아낀 재원은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래 투자, 양극화 해소에 투입한다.

정부는 3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2022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을 의결·확정했다.

예산안 편성지침은 내년 국가재정의 큰 방향성을 정하는 가이드라인으로, 각 부처는 이 지침에 따라 내년도 예산요구서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한다.

   
▲ 자료=기획재정부 제공


기재부는 '적극적 재정운용'과 '재정혁신'이라는 다소 상반된 목표를 제시하면서도, 예년에 비해 '재정혁신'에 대한 무게 중심을 높여,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을 선언했다.

우선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한시·일시적으로 증액된 사업을 전면(zero-base) 재검토하기로 했는데, 정책금융기관에 대한 출자, 고용유지 지원사업, 소비회복 프로그램 등을 예로 들었다.

재량지출은 10%인 약 12조원 상당을 지출 구조조정한다.

또 중장기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재정준칙 등을 통해, 재정 총량을 제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는데, 재정혁신 강조는 내년도 예산 총지출 증가율을 올해보다 낮게 가져가겠다는 의지이기도 하다.

올해 예산 총지출 증가율은 8.9%로 역대 최대 규모의 확장 재정을 기록한 바 있으며, 내년 지출 증가율을 7% 중반대로해도 600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안도걸 기재부 예산실장은 26일 "재정지출 증가율은 코로나19 방역상황 등을 봐가며, 마지막 단계에서 결정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2020~2024 중기계획상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은 6.0%"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비대해진 재정의 역할을 점차 정상화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4차례에 걸친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3.9%로 1년 사이 4.1%포인트 상승했다.

내년은 위기 대응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대신, 미래 투자와 양극화 해소에 집중 투자한다.

고용과 소비, 투자를 플러스로 전환하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고용 구조를 디지털·비대면으로 전환하는 사업에 예산을 투입하는데, 스마트 상점·공방 등 소상공인 온라인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관광상품 등이다.  

아울러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빅테이터나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뉴딜, 2050 탄소중립,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등 분야에 대한 투자 규모도 확대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발생한 'K자 양극화' 대응 예산도 대폭 늘린다.

소득과 고용, 주거, 교육 등 측면에서 안전망을 구축하자는 취지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강하고 전 국민 고용보험 및 국민취업제도를 정착시키며, 무주택 서민을 위한 맞춤형 공적 임대주택을 확대키로 했다.

코로나19 위기로, 건전성이 급격히 저하된 고용보험기금과 중소기업진흥기금, 소상공인진흥기금도 보강한다.  

안 실장은 "지금까지 재정의 방향성이 경제위기 극복이었다면, 앞으로는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래 대비 투자로 비중을 옮길 것"이라며 "적극적인 재정 운용을 위해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