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인터넷 상거래 확산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드론·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한 물류변혁이 최근 글로벌 물류 시장의 화두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4차 산업혁명기술을 선도하겠다는 한국의 물류 시장은 아직도 노동집약적 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에도 택배 및 상하차 노동자의 잇단 사망 사고가 보도되고 있고, 강도 높은 근로환경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난달 16일 정부는 이주노동자의 취업 업종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근로환경 개선 등의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그동안 중소 제조업 및 축산·어업에만 종사할 수 있었던 외국인노동자를, 앞으로는 택배 및 상하차 근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대책으로 내놓은 셈이다.

   
▲ 택배기사들이 자신의 1톤 탑차에 배달할 구역의 물건을 싣는 모습./사진=미디어펜


타국에 비해 비교적 빠른 택배 및 음식배달 등, 물류 시스템이 한국과 가장 흡사한 일본의 경우 역시, 이미 외국인 노동자가 택배 및 상하차 노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 비해 임금이 높고 근로시간이 유연하며, 많은 부분에서 자동화 및 기계화가 이뤄져 있는 만큼, 일본의 물류 산업의 근로환경은 차이가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류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노동력 부족 문제에 직면하자, 일본 정부는 지난 2019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종합물류시책추진 프로그램’을 수립했다.

2022년까지 트럭 순차대열주행 및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현재 실증실험을 진행 중에 있으며, 드론을 물류 시장에 투입해, 이미 지난 2018년에는 산간지역의 드론배송을 본격화했고, 현재 국제기준에 맞춘 물류용 드론포트(Droneport)를 개발해, 도심지 배송도 계획하고 있다.

특히 로봇 융합 연구개발(R&D)을 진행해, 자동화가 어려운 화물을 취급하는 물류시설의 자동화 및 기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로지스틱스시스템협회의 생산출하통계에 따르면, 실제 일본의 물류기기 시장은 2018년 기준 약 6조 원으로 전년대비 26%가 상승했으며 자동창고, 컨베이어 등의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올림픽 특수 소멸과 경기 둔화 등으로 시장이 축소되고는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거래 증가 및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로, 물류부문의 자동화, 무인화 등 고부가가치 시장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후지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차세대 물류기기와 서비스를 포함한 물류기기 시장은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10%씩 성장해 40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제조업이 주를 이루는 일본과 비슷한 산업구조와 고령화 문제를 안고 있고, 이에 더해 출산율 세계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물류 시장의 변혁에 조속히 대응해야 한다”며 입을 모은다.

또 다른 전문가는 “사람을 사람으로 대체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고 반문하며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물류 산업이야말로, 정부가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이 가장 시급한 분야”라고 주장했다. 

더 이상 노동집약적 시장이 아닌, 기술과 자본집약적 시장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