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딛고 주요 지표 개선…"경기회복세 확대"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3월 중 제조업 생산은 줄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늘어, 전체 산업생산이 0.8% 늘면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소비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딛고,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주요 지표가 개선돼 경기 회복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30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2.6(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8% 상승했다.

산업생산은 1월(-0.5%) 감소했다가 2월(2.1%)에 반등한 뒤, 3월에도 두 달 연속으로 증가했다.

   
▲ 산업단지/사진=연합뉴스


다만 산업생산 중 제조업 생산은 0.8% 감소했는데, 광공업 생산도 0.8% 줄었다.

자동차(-4.8%) 생산이 줄었고, 기계장비(-3.0%)도 부진했지만 D램, 플래시 메모리 등 반도체(4.3%) 생산은 호조를 지속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광공업생산은 전월(4.4%)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높아, 3월에는 조정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며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에 문제가 있어 자동차 관련 일부 업체가 가동을 중단, 생산이 감소한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1.2% 늘어 전월(1.1%)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를 기록했으며, 증가 폭은 작년 6월(1.8%) 이후 최대다.

영업제한 등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된 영향이 이어지며 숙박·음식점(8.1%) 생산이 늘었고, 여객·화물 운송 증가로 운수·창고(5.8%)도 플러스였다.

반면 금융·보험업 생산은 주식 거래가 주춤한 영향으로, 3.1%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도 2.3% 늘어, 2월(-0.8%)의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했고, 지난해 8월(3.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온화한 날씨, 거리두기 완화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며 의복 등 준내구재(9.1%), 화장품 등 비내구재(1.5%) 판매가 늘었다.

소매 업태별로 보면 백화점 판매액이 전월 대비 3.7%, 한 해 전보다는 61% 급증했고, 전문소매점과 면세점 및 편의점 소비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0.0%로 보합을 나타냈으며, 건설투자는 0.4% 늘었다.

건설업체가 실적인 건설기성은 한 해 전보다 5.7% 줄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5포인트 오른 100.2였고,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상승해 103.1로 나타났다. 

특히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개월 연속 상승, 2009년 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12개월 연속 높아진 이후 최장기간 오름세를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주요 지표가 대부분 전월보다 개선, 경기회복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