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23% 급등...작황부진에 농축수산물 12% 치솟아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5월 중 소비자 물가가 2.6% 오르며, 9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에 농축산물 가격이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갔고, 석유류는 23%나 급등했다.

2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2015년=100)으로 작년 동월 대비 2.6% 올랐는데, 이 상승률은 지난 2012년 4월(2.6%)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고다.

올해 1월(0.6%), 2월(1.1%), 3월(1.5%)을 지나 4월(2.3%)에는 2%대로 올라서더니, 지난달에는 2% 중.후반으로 뛰었다.

   
▲ 마트 식료품코너/사진=미디어펜


상품은 한 해 전보다 4.0% 상승했다.

'장바구니 물가' 농축수산물은 작황 부진과 AI 여파에 12.1% 오르며, 지난 1월(10.0%)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갔다.

농산물은 16.6% 상승했고, 특히 파는 생육 부진 탓에 130.5% 폭등했는데, 전월(270.0%)보다는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축산물은 10.2%, 수산물은 0.5% 각각 치솟았다.

공업제품 물가는 3.1% 올라, 2012년 5월(3.5%) 이후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석유류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국제유가가 급락한 데 따른 기저효과로, 2008년 8월(27.8%) 이후 가장 높은 23.3%의 상승률을 기록한 영향이다.

반면 전기료 인하 등이 반영되며 전기·수도·가스는 한 해 전보다 4.8% 하락했고, 서비스 물가는 전년대비 1.5% 높아졌다.

개인서비스는 2019년 2월(2.5%) 이후 가장 높은 2.5% 상승했으며 운영비, 재료비 인상 등으로 전월(2.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개인서비스 가운데 외식 물가는 2.1% 상승했는데,  재료비 인상으로 구내식당 식사비가 오른 영향이다.

외식 외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공동주택 관리비, 보험서비스료 상승으로 인해 2.8%였고, 무상교육 등 정책 영향으로 공공서비스는 0.7% 하락했다.

집세는 한 해 전보다 1.3% 오르며 2017년 11월(1.4%)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으며, 전세는 1.8%, 월세는 0.8%의 상승률이었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교통의 상승률이 9.2%에 이르렀고, 식료품·비주류음료(7.4%), 음식·숙박(2.0%) 등도 오른 반면,  반면 통신(-2.1%), 교육(-0.8%) 물가는 내렸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1.5% 올라, 2017년 9월(1.6%) 이후 최대 상승률이었다.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2017년 8월(3.5%) 이후 가장 높은 3.3% 높아졌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2%, 신선식품지수는 13.0% 각각 올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의 경우 지난해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가 완화될 것이고, 농축수산물도 햇상품 출하 및 AI 발생의 부정적 영향이 줄어들면서 오름세가 둔화할 것"이라며 "하반기에 들어서면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물가 오름세는 작년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와 일시적 공급 충격 등이 주도한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