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패권갈등, 변종 바이러스, 물가상승 등 위협요인으로 꼽혀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올해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 바이오․헬스 등 일부 품목은 하반기부터 호조세가 꺾일 수 있다는 전망과, 느린 속도지만 증가 곡선은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2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15대 품목에 대한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수출 호조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이차전지(22.0%), 자동차(13.6%), 반도체(12.0%), 선박(10.5%), 자동차 부품(9.4%) 순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수출 호조세가 가장 오래 지속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국내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자동차 분야와 선박 역시 기저효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수요 회복, 전기차 시장 확대 및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내년 상반기까지 수주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 컨테이너 항만./사진=부산항만공사


하지만 컴퓨터,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가전의 수출 호조세는 오래 못 갈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현재의 수출 호조세가 가장 먼저 꺾일 상위 5개 품목으로는 컴퓨터(16.7%), 석유화학(15.4%), 디스플레이(12.3%), 바이오·헬스(11.1%), 가전(8.6%) 순으로 꼽혔다.

이 중, 하반기부터 가장 빠르게 하락이 예상되는 품목으로 바이오·헬스(60.0%), 가전(57.1%), 컴퓨터(50.0%), 석유화학(40.0%) 등이 꼽혔는데, 특히, 그동안 진단키트 특수를 누리던 바이오·헬스 분야가 백신 접종 확대에 따라, 수출이 주춤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이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수출 산업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글로벌 수요 감소(36.0%)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미중 패권갈등(27.7%), 보호무역주의 확산(13.9%)을 선택했다.

   
▲ 전경련이 12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출 위협요인과 수출 경쟁력 유지 과제./그림=전국경제인연합회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주요 수출국에 대한 정부의 통상여건 개선 노력(38.9%)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규제개선 및 세제감면 등 기업환경 개선(33.3%),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지원 확대(27.8%) 순으로 조사됐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에도 불구, 우리 수출 실적이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지만, 언제 또다시 위기가 올지 모르는 상황”이라면서 “우리 정부가 미중 패권갈등과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경제연구원은 조금 다른 해석을 내놨다.

주 원 경제연구실장은 “2분기 현재 한국 경제는 이미 회복 국면에 안착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하반기에도 상반기만큼 빠르진 않더라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수출이 경제 성장을 견인하면서, ‘경기 추세의 우상향’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을 내놨다.

이어 “내수 부문 역시 방역상황의 개선으로 회복속도가 가속화될 것”이라면서 “4분기 집단 면역 달성 전제하에서, 경제 내 대부분 섹터들이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복원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주장했다.

현경연은 대외 리스크 요인들에 대해서도 다른 요인을 꼽았다.

먼저 경기 회복의 걸림돌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새로운 펜데믹 발생 등 예기치 못한 보건학적 위기가 다시 도래하면서, 경기 재침체 국면이 전개될 가능성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기조 변경으로 인한 '긴축 발작' 및 국내외 인플레이션 과속으로 인한 가계·기업의 불확실성 증대를 들었다.

이에 주 실장은 “코로나19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재정적책과 통화정책의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수출 확장을 위한 차별적 시장 접근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물가 상승요인 억제 노력과 함께 코로나19 이후의 시장 수요 복원에 대비한 적극적인 투자 활성화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