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의 고장, 금산사와 벽골제, 그리고 아리랑(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오후에 다시 출발한 버스는 벽골제를 향해 달린다.

차 안에서 주변 사람들 사이엔 벽골제라는 이름이 화제가 됐다. ‘자야 당연하지만 자는 푸를 벽()이고, ‘은 뼈 골()이기 때문. ‘푸른 뼈 둑이라고?

안내자가 벼가 많이 나오는 곳이라고 해서, 벽골제라고 알려준다. 그렇다면, 삼한시대 백제 초기에 만들어졌다는 이 저수지 이름은 음차(音借)한 게 아닐까? 벼를 소리 나는 대로 벽이라 쓰고, 골은 골짜기 또는 고을이란 뜻으로 짐작된다. 저수지가 푸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모악산은 전주와 붙어 있는 김제의 동남쪽 끝이고, 벽골제는 서북쪽에 있다. 과연 벽골제와 가까워질수록 호남평야의 중심에 들어서면서, 지평선이 끝없이 펼쳐지고 산을 찾기 어렵다.

   
▲ 벽골제 '쌍룡' 조형물/사진=미디어펜

마침내 벽골제 입구에 도착했다. 벽골지문(碧骨之門)이란 현판이 걸린 솟을대문을 들어선다.

사적 제11호 벽골제에 대한 최초 기록은 삼국사기신라본기에 신라 흘해이사금 21(330) 처음 벽골지(碧骨池)를 열었다. 제방의 거리는 일천팔백보다라고 쓰여 있다.

이 시기는 김제가 백제의 영토였으므로 삼국통일 이후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고, 학자들은 축조시기를 백제 11대 비류왕(比流王) 27년으로 본다. 제방 길이는 3.24km 정도로 추산된다.

통일신라 원성왕과 고려 현종 및 인종, 조선 태종 때 각각 고쳐 쌓았으나, 세종 때 폭우로 무너졌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동진토지개량조합이 제방을 농업용 간선수로(幹線水路)로 만들면서 결정적으로 훼손돼, 호수에서 수로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지금 옛 모습이 남아있는 것은 수문지 장생거경장거’ 2개를 포함한 약 2.5km의 제방, 1415년 중수를 기록한 중수비(重修碑) 뿐이다.

제방 높이는 약 5.7m, 위변 넓이는 10m, 밑변은 21m 규모다. 수문은 넓이 4.2m, 사용된 돌기둥의 높이는 5.5m, 돌 기둥 1개의 무게는 약 8톤에 달한다. 돌 기둥 안쪽에 깊이 12cm이 있는데, 여기에 나무 판을 넣어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량을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고대 수리시설 유적은 국내 최고 곡창, 오천년 농경문화(農耕文化)의 귀중한 유산이다.

유적지에 들어선 우리 일행은 우선 체험장으로 향했다. 한지공예 체험과 볏짚문화 체험이다. 필자는 보다 쉬워 보이는 볏짚을 택했다. 가르쳐주는 대로 따라하면서, 계란을 넣을 수 있는 꾸러미를 만드는 일이다. 생각보다 더 쉽다. 10분도 안 돼 계란 3개를 싼 꾸러미가 생겼다.

그 앞 생활문화(生活文化) 전시관을 찾았다.

어릴 적 보던 볏짚과 흔한 재료로 만든 생활용품이 즐비하다. 삼태기, , 빗자루, 방석, 멍석, 소쿠리, 가마니, 꾸러미, 망태기, 지게, 그릇 종류, 주전자, 어항, 삿갓, 미투리, 짚신, 짚 항아리, 바가지, 닭장, 조리 등은 물론 초가집과 짚 탑, 동물 모양 같은 공예품(工藝品)도 있다.

시골 살 때 사용하던, 탈곡기도 보인다. 인력으로 발판을 밟아 돌려, 벼 낱알을 터는 단순한 기계다. 전시관 지붕도 짚으로 엮은 이엉을 얹었다.

그 옆에는 기와 2, 초가 1동도 보인다. 동헌(東軒) 내아(전북 유형문화재 제61), 석정 이정직 생가(전북 문화재자료 제128), 망해사 낙서전(전북 문화재자료 제128)를 재현한, 전통가옥 숙박체험 장소다.

좀 더 안으로 들어가니, 농경사(農耕史) 주제관.체험관이 나타난다.

농경이 처음 시작된 신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림과 도형, 유물 등으로 보여준다. 그 맨 꼭대기는 전망대다. 사방을 둘러봐도 망망대지(茫茫大地) 들판 뿐, 산은 보이지 않는다. 마치 바다를 보는 것처럼, 가슴이 확 트인다.

옛날 훼손되기 전, 벽골제의 저수 추정 지도들을 보여주는 안내판도 있다.

그 풍경 속, 제일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이 유적지의 상징인 벽골제 쌍룡(雙龍)이다. 바로 쌍룡을 찾아 나섰다.

거대한 두 마리 용이 싸우고 있는 형상의 구조물이다. 제방을 훼손하려는 청룡(靑龍)과 이를 보호하고자 하는 백룡(白龍)이 함께 저수지에 살면서, 자주 싸웠다는 전설이 전해지는데, 이를 소재로 한 최평곤 작가의 작품이다.

그 뒤로 제방이 길게 펼쳐져 있다. 둑 위로 올라서니, 옛 저수지의 흔적인 수로가 이어져 있다. 저 멀리 수문(水門)이 보인다. 오른쪽 물길을 건널 수 있는 나무 다리가 정겹다.

둑 길 우측에 연못이 있고, 가로 놓인 데크 길을 걸어본다. 연 잎들은 무성하지만, 아직 꽃은 피지 않았다. 그 너머, 논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대접할 점심(點心) 광주리를 머리에 인 여인상이 있다. 옆에 한 아이와 바둑이가 따른다. 그들 앞에는 실제 경작 중인 논이 넓게 펼쳐진다.

유적지 입구 농산물 매장에서 지평선 막걸리와 우리 밀 스낵을 샀다.

   
▲ 아리랑문학마을 일제수탈관/사진=미디어펜

다음 행선지는 아리랑 문학마을이다. 조정래 선생의 아리랑이야기가 시작되는 김제 죽산면 옛 내촌(內村).외리(外里) 마을에 터를 잡고, 소설의 무대를 재현해 낸 곳이다.

입구 아리랑 문학마을이라고 글자가 붙은 건물은 사실, 일제수탈관(日帝收奪館)이다.

안으로 들어서니, 신발장에 흰 고무신들이 가지런하다. 실내화로 고무신을 체험해보라는 것. 갈아 신으니, 편하고 시원하다. 내부는 일제의 수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물들이 가득하다. 부모 잃은 아이가 바가지를 들고 먹을 것을 구걸하는 동상이, 당시의 참상을 웅변해준다.

2층은 조 선생의 문학세계(文學世界)를 펼쳐놓았다.

문학은 인간의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인간에게 기여해야 한다는 선생의 말씀이 가슴을 울린다. 그 옆에 아리랑 전체 한 질이 전시돼 있다. 이어 태백산맥(太白山脈), 한강 등 선생의 대하소설들이 반겨준다.

벽마다 아리랑의 이야기 흐름을 죽 알려주고 있다. 그 가운데, 일본 군경을 향해 돌격하는 독립군(獨立軍) 병사의 동상이, 비장한 결사 항전을 알린다. 아리랑 주인공 대부분이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일제수탈관 앞 광장 건너편에는 일제수탈기관(日帝收奪機關)들이 옛 모습대로 재현돼 있다.

죽산우체국(竹山郵遞局)은 조그만 양옥이다. 안에는 집배원 상과 책상, 각종 장부와 서류철, 전화기, 타자기 등이 놓여있다. 벽에는 일장기. 우체국장실에는 다다미가 깔렸고, 우체통과 간단한 가구 4 , 낮은 책상, 일본 술병 등이 보인다.

한쪽에 전화 교환실이 있다. 여기서 교환원들은 일제에 협조적이지 않은 사람들에게 온 전화는, 그냥 끊어버렸다. 물론 전화를 걸지도 못하게 했다. 우체국이 수탈기관이 된 이유다.

맞은편은 죽산정미소(竹山精米所).

정미소는 어릴 때 보던 모습과 거의 비슷하다. 여기서 빈농들에게 수탈해 온 벼를 쌀로 바꿔 자루에 담아, 전부 다 일본으로 가져갔다. 막상 농사를 지은 우리 농민들은 한 톨도 없이...

그 대각선에 있는 것이 죽산주재소(竹山駐在所). 바로 일제 헌병과 경찰의 소굴이다.

욱일기가 걸려있고, 칼을 찬 헌병 사진이 위압적이다. 한 쪽에는 고문실이 있다. 벽에 걸린 무기들과 고문 도구들이 보기에도 소름이 돋는다. 그 옆에는 악명(惡名) 높은 고문장이 있는데, 한 사람이 앉을 공간도 없이, 질식할 듯 서서 갇혀 있어야 한다. 가장 고통스런 고문이었다.

건너편은 죽산면사무소(竹山面事務所)가 있다.

역시 작은 벽돌조 건물에 소박한 내부다. 면장실도 일장기 아래 당시 조선총독 사진 등이 벽에 걸렸고, 작은 책상과 걸상 하나, 사무도구 등과 담뱃대가 놓여 있다. 그 옆에는 작은 난로 위에 물 주전자가 올려졌다.

외리마을 가는 길가에 일본인 지주의 적선불망비(積善不忘碑)가 있다.

흉년이 심해 양식은 물론 다음해 파종할 볍씨조차 없자, 지주가 벼를 나눠줘 다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했다는 건데, 이 또한 수탈 기반 유지를 위한 수단이었을 뿐이다.

외리마을엔 단정하게 복원된 초가(草家) 몇 채가 있다. 부엌은 흙 바닥이고, 흙으로 바른 부뚜막에 가마솥 2개가 걸려있다.

내촌마을의 초가 체험을 할 수 있는 곳 창고에는 메통, 맷돌, 물지게, 지게, 절구, 다듬이, 멍석 등이 보인다. 다른 집은 작은 방 2개와 좁은 툇마루, 부엌과 광이 전부다. 만주(滿洲)로 떠나 독립군이 된 소설 속 주인공의 집을 재현했다.

마을 길을 따라 계속 가면, 하얼빈 역()을 실제의 절반 정도 크기로 복원해 놓았다. 러시아 풍의 역사 건물에, 한글로 하얼빈역이라 써놓았다. 역사 안은 제법 그럴 듯, 볼 만하다.

특히 역사 뒤에는 안중근(安重根)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하는 장면을 그린 동상들이 있고, 그 옆에는 당시의 증기기관차 모형이 있다.

역사 앞 오른쪽에는 당시 만주로 이주한 우리 동포들의 이민자(移民者) 가옥이 보인다.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농촌진흥운동으로 이어지는 일제의 수탈정책을 견디다 못해, 대대로 살아온 고향을 떠나 화전민(火田民)이 되거나, 만주.시베리아 등 이역 땅으로 쫓겨난 동포들은, 새로운 땅에서도 조국 독립의 열망을 잃지 않은,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줬다.

가옥이라기보다 움막에 가까운, 짚으로 만든 이엉을 벽처럼 두르고, 문 삼아 매단 집이다. 뒤쪽 변소(便所)도 이엉으로 둘렀다. 내부는 흙 바닥에 멍석 하나를 깐 방 하나에 흙 부뚜막이 전부다. 살림살이는 가마솥 2개와 낡아 빠진 소반(小盤) 하나, 소쿠리와 화로 하나씩이 전부다.

극히 어려운 살림 형편이 그대로 느껴져, 눈물겹다.

그 옆 나무판자로 너와를 얹은 집은 그래도 좀 낫다. 흙 벽을 두른, 집의 형태를 갖췄다.

이 집들에서 만주와 시베리아의 한겨울 혹한(酷寒)을 대체 어떻게 견뎠을까? 이엉을 두른 벽은 겨울바람을 도저히 막을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정 견디기 어려우면, 이웃집으로 피신해 서로 부둥켜안고 체온으로 버텼을 것이다.

그리고 아리랑을 부르며, 조국과 고향을 그리면서, 반드시 해방(解放)된 나라로 돌아갈 것을 다짐하며, 그 날을 꿈꿨으리라.

필자도 아리랑을 나지막하게 부르며, 아리랑 문학마을을 떠났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