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코로나 대출' 만기 연장·이자 유예 조치가 오는 9월 이후 또 한 번 더 연장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저축은행들의 긴장감이 증폭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은 시중은행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이용자가 많아 부실 위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사진=미디어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소상공인 코로나 위기 극복 추가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9월 말까지 설정돼있는 금융권 채무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 등 금융 지원에 대해 연장 여부 등을 9월 중 검토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 역시 지난달 28일 금융권 방역 이행상황 점검을 위해 서울 중구 롯데카드 남대문 콜센터를 찾은 뒤 기자들과 만나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8월에 잡힌다면 계획대로 9월에 종료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추가 연장)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앞서 금융권은 정부 지침에 따라 지난해 4월부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유예조치 등의 금융지원조치를 실시했다.

'코로나 대출'은 지난해 9월과 올해 3월 두 차례에 걸쳐 6개월씩 연장된 바 있다.

금융당국에서 잇따라 코로나 금융지원 재연장 가능성을 시사하자 저축은행업권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향후 대출 지원 프로그램을 6개월 다시 연장하면 결국 이자만 2년 치를 갚아야 하고, 기간이 늘어날수록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될 수 있어 부실이 한꺼번에 터졌을 때 감당해야할 리스크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저축은행업권 금융지원 규모는 총 5700억원에 달한다. 이는 저축은행 지난해 순익인 1조4000억원의 40% 수준에 달한다. 

각 금융지원 규모별로 살펴보면 만기연장이 3175억원, 원금상환유예 2180억원, 이자유예 375억원으로 집계된다.

저축은행들의 코로나 금융지원 규모는 은행권에 비해 크진 않지만 평균 신용등급이 낮은 저축은행 차주들의 특성상 리스크가 더 높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상환 유예 종료로 특정 시점에 상환부담이 커져 부실 징조가 한꺼번에 터질 가능성이 있어 취약차주의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점진적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