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셧다운, 최대 23억 달러 경제적 손실...미국 증시 방향성은 엇갈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정부가 여야 대립으로 또 다시 '셧다운' 위기를 맞은 가운데, 사태의 향배가 주목된다.

미국 여야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인프라 예산안 처리를 둘러싼 갈등으로,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상한선을 늘리거나 시한을 유예하지 못하고 있다.

쟈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의회가 연방정부 부채한도를 조정하기 않을 경우, 내달 18일께 정부가 채무 불이행을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행 정부 부채 상한선은 지난 7월 31일 이미 종료, 이후 연방정부는 추가로 돈을 빌리지 못하고 ,남은 현금과 비상수단으로 버티고 있다.

하지만 공화당은 부채 한도를 내년 12월 16일까지 유예하는 법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데, 코로나19 관련 바이든 대통령의 3조 5000억 달러 규모의 사회복지성 예산에 대한 반발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1 회계연도가 끝나는 오는 30일이 지나면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이 커, 가뜩이나 미 국채금리 급등과 중국 헝다 사태 관련 불확실성으로 불안한 금융시장에 '악재'를 더하고 있다.

   
▲ 미국 달러화/사진=연합뉴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과거의 셧다운 사례를 다시 들춰보고 있다.

지난 50년간 연방정부 셧다운은 14개년, 총 21회로 꽤 자주 발생한 편이다.

역사상 최장기간 셧다운은 지난 2018년 12월 22일부터 34일간 발생, 약 23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셧다운에 따른 미국 증시의 방향성은 엇갈린다는 평가다.

29일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총 21회의 셧다운 중 스탠다드앤푸어스(S&P) 지수가 상승한 것은 9회, 하락한 것은 8회였으며, S&P 500지수 수익률 평균치는 +0.1%였다.

1990년 이후에는 셧다운 기간 중 미국 증시가 호조를 보였는데, 이는 셧다운 경험이 축적되면서, 이런 이슈는 '결국 해소될 불확실성'이라는 인식이 자리잡게 되고, 투자심리에 끼치는 영향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

다만 2011년 미국의 부채한도 이슈로 신용평가사 S&P가 미국의 장기 신용도를 낮추자, 주요 지수는 20% 급락하는 등 시장 불안이 적지 않았다.

정나영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서는 미국의 디폴트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우세하다"면서도 "하지만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는, 증시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