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특성 고려 맞춤형 지원정책 필요...일자리.농촌생활 체험 확대 등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도시 집값 급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귀농.귀촌 인구가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작년 귀농.귀촌 인구는 49만 4569명으로 전년대비 7.4% 늘었다.

귀농 가구원은 1만 7447명으로 2019년보다 1266명, 7.8% 많아졌고, 귀촌 가구원은 47만 7122명으로 3만 2658명, 7.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 개편된 귀농귀촌 종합센터 홈페이지/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반면 가족 전부가 아닌 '1인 귀농.귀촌'이 늘면서, 평균 귀농 가구원 수는 1.40명으로 오히려 0.02명 줄었고, 귀촌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1.38명으로 0.02명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수도권 및 광역시 주택가격 급등 등으로,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 증가가 농촌지역 순유입자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60대 귀농.귀촌인이 늘었고,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이하 청년영농지원) 등의 영향으로, 30대 이하의 귀농 인구도 많아졌다.

특히 광역시 및 수도권 대도시, 지역 거점도시나 혁신도시 및 신도시 개발지역 주변 시군의 귀농인 수가 증가했다.

농경연은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의향이 늘었고, 지난 2019년 말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주택가격이 '도시지역 압출 요인'으로 작용해, 농촌으로의 이주를 가속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최근 귀촌 사유는 주택, 가족 관련 비율이 낮아지고 직업, 건강, 교육 등 비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정주 여건의 편리성 외에도 쾌적한 환경 등을 갖춘 곳을 중심으로, 귀촌 증가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경향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귀농.귀촌 기반 유지 및 관계 인구 확대를 위해서는 농촌다운 가치를 보전하고 활용하는 대책 마련, 농촌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송미령 농경연 연구위원은 "청년영농지원 등 지속과 더불어 일자리 및 농촌생활 체험 프로그램 확대, 귀농 현장학습과 멘토링 체계화, 농지 및 영농자금 이용의 편의성 측면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살아보기 체험 확대와 빈집 등을 연계, 혹은 신축을 통한 '임대형 주택' 등의 제공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