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세계식량가격지수가 3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보다 3.0% 상승한 133.2포인트(p)였다.

FAO는 지난 19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해 5개 품목군(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하는데, 7월 124.6에서 8월 128.0, 9월 129.2로 오른 데 이어 지난달 더 상승했다.

5개 품목 중, 곡물과 유지류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곡물 가격지수는 137.1로 전월보다 3.2% 올랐는데, 지난해 동월보다는 22.4% 높다.

   
▲ 우크라이나 미콜라이프항 소재 포스코인터내셔널 곡물 수출터미널에서 밀이 선박에 선적되는 모습/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제공


밀은 캐나다와 러시아,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수확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고, 옥수수는 에탄올 등 에너지 시장 호조로 높아졌으나, 미국 공급량 증가 등으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은 제한됐다.

유지류는 184.8로 전월보다 9.6% 올랐고, 지난해 동월보다는 73.5%나 급등했다.

팜유는 주요 생산국인 말레이시아의 생산량 저조 우려로 가격이 상승했고, 유채씨유는 장기화한 세계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다.

버터 등 유제품은 120.7로, 10월보다 2.2% 값이 높아졌다.

반면 육류는 112.1로 전월보다 가격이 0.7% 하락했고, 설탕은 119.1로 1.8% 낮아졌다.

육류 중 돼지고기는 중국의 수입 감소로 내렸고, 쇠고기는 브라질 내 광우병 발생에 따른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수입 중단으로 브라질산 공급 가격이 하락, 전반적으로 싸졌다.

FAO는 2021∼20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억 9000만t으로 전년대비 0.8%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고, 같은 기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억 1000만t으로 1.7%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