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해양조사원, 장기 해수면 변동결과 발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매년 평균 3.03㎜씩 상승, 총 9.1㎝가량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90년대보다 최근 10년간 상승 속도가 10% 이상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 이런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 해수면 변동 연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 최근 30년간 평균 연안 해수면 상승률/자료=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조사원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991년부터 2020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가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승률을 계산한 결과, 해수면은 해당 기간 매년 평균 3.03㎜씩 높아진 것으로 추산됐다.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해안(연 3.07㎜), 남해안(연 2.61㎜) 순으로 조사됐다. 

울릉도(연 6.17㎜)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포항·보령·인천·속초 순이었다.

최근 30년간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가 1991∼2000년에는 연 3.80㎜, 2001∼2010년에는 연 0.13㎜, 2011∼2020년에는 연 4.27㎜여서, 1990년대 대비 2010년대의 상승 속도가 약 10% 이상 높아진 셈이다.

지난 8월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산하 실무그룹은 1971∼2006년과 2006∼2018년에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각각 연 1.9㎜씩, 3.7㎜씩 상승했다는 보고서를 냈다.

이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은 1971∼2006년은 연 2.2㎜로 전 지구 평균보다 소폭 빨랐지만, 2006∼2018년엔 연 3.6㎜로 평균과 비슷했다.

정태성 해양조사원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 해수면 상승 현황을 지속해서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