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포집시설 연계통합 실증, 중소규모 CO2 활용기술 상용화 추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개발 및 실증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일 세종시 나성동 소재 르호봇 대회의실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기획 총괄위원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

   
▲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20일 세종시 나성동 소재 르호봇 대회의실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기획 총괄위원회 1차 회의’를 개최하고 실증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산업부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15일 ‘CCU 기술혁신 추진전략’을 수립하면서 2030년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14개 CCU 제품 후보군을 도출하고, 중점투자가 필요한 59개 기술을 선정했으며 기술 고도화 및 실증을 위한 대규모 CCU 예타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번 ’3050 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 기획으로 CCU 원천 기술 및 초기 단계의 실증 기술을 기업 현장에 적용하고 확산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CCU 로드맵에서 도출된 중점 제품과 기술군을 이산화탄소(CO2) 활용 규모, 기술개발 및 상용화 수준에 따라 3개의 트랙으로 구분, 실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주관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동 예타사업 기획에 다양한 기술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온라인 조사를 12월 30일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며, 기술개발 수요가 있는 기업·연구자는 주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수요를 제안할 수 있다.

동 사업의 기획을 위한 총괄위원회는 이날 착수회의에서 기업 수요조사 결과 및 예타 기획방향 공유 등을 시작으로, 상세기획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부처 협력을 기반으로 내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거쳐, 오는 2024년 착수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CCU 기술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려면 기업 수요가 가장 중요하다”라며 “정부 투자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전환정책관은 “기술을 넘어 CCU를 탄소중립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해, 글로벌 기후위기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조기상용화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