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노동 연령대 30~64세 인구 비중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장 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인구 고령화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성장률을 0.19~0.25%포인트 낮춘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국가의 경우, 연령대별 인구비중 변화와 경제성장률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렇게 밝혔다.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마크/사진=OECD 웹사이트


핵심 노동 연령대인 30~64세 인구 비중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것.

보고서는 고령화로 5년 동안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고 30~64세 인구는 1%포인트 하락할 경우, 연평균 성장률은 약 0.38%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인구가 1% 증가하면 연평균 성장률은 0.18%포인트 올라, 총인구 증가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고령화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지난 2000년 이전에는 0.47~0.54%포인트에 달했으나, 이후에는 0.19~0.25%포인트에 그쳐, OECD 국가들의 고령화 대응 정책이 효과를 미친 것으로 진단했다.

OECD 국가들은 고령화의 부정적 충격 완화를 위해 생산연령인구의 확충, 생산성 제고, 노동참여율 개선 등 다각적으로 대응해 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