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 추진...항만·어촌에 디지털 기술 도입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분야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 기존 정책을 확대 개편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스마트화 전략 2.0은 인프라 도입을 넘어 산업 현장과 일상을 바꾸는 실질적인 스마트화, 해양수산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범정부 디지털 전환에 따른 투자 확대와 내부 스마트화 역량 확보 등, 3가지 개선 방향을 바탕으로 한 신규 과제들이 추가됐다.

해수부는 먼저 어촌·어항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수산 분야의 스마트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어촌 뉴딜' 사업과 연계해 낙후된 어촌 디지털 인프라를 개선하고, 어항 시설물 관리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어항 구축에 나선다.

방파제, 테트라포트 등 위험 구역과 부두에 동작 감지가 가능한 폐쇄회로(CC) TV와 가속도계 등 최신 계측 장비를 설치하고, 이 정보를 한국어촌어항공단에서 원격으로 관제해 비상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춘다.

   
▲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 따른 미래상/자료=해양수산부 제공


또 해양수산 분야에 디지털 신기술을 도입, 해양 레저·관광과 항만 노동자의 안전 관리 강화에 나선다.

우선 항만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스마트 항만안전 플랫폼을 올해 부산항에서 시범 운영한 후 전국으로 확대하고, 크레인에는 영상 인식 장치를 설치해 노동자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아울러 내년까지 전국 29개 무역항에 지하시설물 계측 센서를 부착해 지반 침하·균열 등 이상 징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오는 2024년까지 조업 중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해 어민들에게 동작감지형 양망기를 공급한다. 

어선 충돌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2025년까지 '바다내비게이션' 탑재 어선을 1만 5000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해상 물류 분야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개발과 자동화·스마트 항만 구축 등 기존의 과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물류 서비스 혁신을 통해 글로벌 해상 물류 경쟁을 선도하기로 했다.

로봇과 IoT 장비가 입·출고를 확인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재고를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센터를 2024년까지 부산항과 인천항에 건설한다.

이와 함께 항만과 배후도시 교통 상황을 가상공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 최적의 운송 시간과 경로를 운송사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2025년까지 개발하고, 해상 물류 관련 신기술을 항만과 실제 해역에서 검증할 수 있는 통합성능검증센터도 조성한다.

더불어 디지털화된 행정 시스템과 관련 인력 양성을 통해, 안정적인 해양수산 스마트화 역량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2024년까지 공동 문서 작업 플랫폼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고 방식을 도입하고,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가진 데이터를 종합한 '해양수산 데이터댐'을 구축해 개방할 예정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스마트화 전략 2.0을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를 해양수산 분야가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피력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