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해양수산부가 해상 교통 정보와 기상 정보, 충돌 위험 등을 실시간으로 알려줘, 해양사고를 줄이는 바다 내비게이션의 보급률을 전체 선박의 45%로 확대한다.

해수부는 지난해 수립한 '제1차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 기본계획'의 실천을 위해, '2022년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 시행계획'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올해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선박을 전체의 45%로 늘리고, 서비스 이용 선박의 주요 해양 사고를 20%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바다 내비게이션 구조/자료=해양수산부 제공


이를 위해 민간 선박 1445척에 바다 내비게이션 단말기 설치를 지원하고, 현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제공하는 바다 네비 최적 항로 서비스를 단말기가 설치된 선박 전체로 확대한다.

또 소형 어선들도 바다 내비 단말기를 쓸 수 있도록, 하반기부터 소형 선박용 송·수신기를 보급한다.

오는 6월부터는 부유물 감김 사고가 잦은 해역과 해저 케이블 매설 위치 등, 다양한 안전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며, 해양 의료와 해상 안보 분야에서 바다 내비 활용 방안도 모색한다.

아울러 해수부는 연안 선박에서 응급 환자가 발생할 경우, 바다 내비 서비스를 활용해 지원하는 방안을 올해 안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군 함정의 원격의료 체계 구축 사업과 해상 안보 활동 등에서도 내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의 협업 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해양 교통과 관련한 정보 통신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자, 해양교통정보통신업 등록제 도입을 추진한다.

정태성 해수부 해사안전국장은 "바다 내비는 해양 안전, 해상 의료, 해상 보안, 해양 환경 관리 등 바다와 관련된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