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환원정책 강화…우크라이나 사태 대응 방안도 주목
국민연금 주총서 영향력 행사도 관전 포인트
[미디어펜=조한진 기자]3월 정기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기업들의 주요안건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다수의 기업들이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리스크 확대에 대한 대책을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여기에 주주권 행사를 강화한 국민연금이 경영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8일 재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다음 달 중 정기주총을 개최하고 재무제표 승인, 이사 보수한도, 배당 등 주요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 지난해 3월 17일 수원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제52회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 /사진=삼성전자 제공

올해 주총에서는 주주환원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매출 500대 기업 주주총회 애로사항 조사’를 살펴 보면 기업들은 주총에서 가장 중요한 안건으로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정책’(23.1%)을 꼽았다.

이어 △‘정관변경 승인’(19.9%), △‘(사외)이사 선임·해임’(18.6%), △‘감사·감사위원 분리선출’(12.7%) 등이 뒤를 이었다.

주총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방안이 거론될지도 관심사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시장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원자재와 유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퇴출되면서 피해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러시아에는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을 포함해 40여개의 기업이 진출해 있다. 해당 기업들은 현지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피해 확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주총 시즌에는 국민연금의 영향력 행사 여부도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정부가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를 강화하는 제도를 꾸준히 도입하고, 지난해 12월에는 국민연금 주주대표소송 도입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상법 시행령 개정(2019년)으로 사업보고서를 주총 전에 공시해야 하고, 늘어난 사외이사 결격사유들 때문에 적당한 후보자를 찾는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2020년 상법 개정으로 감사위원 분리선출까지 도입되면서 기업 실무자들이 주총 준비에 신경 써야 할 사항들이 대폭 늘었다.

전경련 조사에서 국민연금이 주총 안건에 반대의사를 사전에 공시할 경우 주총 당일 해당 안건의 통과가 어려울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기업의 31.2%는 ‘그렇다’라고 답했다. 조사대상 기업 10곳 중 3곳은 국민연금이 반대하는 안건의 주총통과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다.

매출 1조원 이상으로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들은 ‘국민연금이 사전에 반대의견을 공시하면 안건통과가 어려울 것’이라는 답변이 43.5%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들이 국민연금의 영향력을 더 크게 느끼는 셈이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