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 공동배달 직영센터 연말까지 폐업
2005년 11월 설립되어 신문 공동배달의 중심축을 이루었던 신문유통원이 사라지게 됐다.

신문유통원은 신문의 공동배달을 통한 경비절감 및 국민의 폭넓은 언론매체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공익특수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잡지 및 기타 간행물의 배달, 신문수송의 대행 등을 수행했다.

2010년 2월 1일 언론재단, 신문유통원, 신문발전위원회 등이 언론진흥재단으로 통폐합되며 공식적으로는 없어졌으나 재단출범후 유통사업국 밑에 유통지원팀, 자산품질관리팀, 공배팀, 간해물사업팀 등으로 분산되어 명맥을 이어 왔다.

하지만 언론진흥재단이 12월 31일자로 전국 22개 직영센터와 간행물사업을 폐업한다고 밝힘에 따라 5년간 유지되었던 신문유통원의 기능이 사실상 없어지게 되었다.

이성준 언론진흥재단 이사장은 27일 오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입기자 송년간담회에서 “2005년부터 정부가 직접 주도해온 신문유통사업을 올해로 마감하고 2011년부터는 신문사 자율의 유통협의체를 통해 간접지원하는 체제로 전환한다”고 말했다.

간접지원방식으로는 신문우송료 지원, 신문수송료 지원, 신문적환장 설치 등이 논의 되고있다.

현재 공동배달센터는 언론진흥재단 직영 22개와 민영 716개 등 총 738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민영 공배센터는 문화부,언론진흥재단,신문사 등이 논의하는 자율유통협의체를 통해 방향이 결정될 것이며 그 전까지는 현상태를 유지할 예정이다.

정부가 공동배달사업에서 손을 떼게 된 이유는 민영센터의 경우 100% 개인사업자인데 특정한 이들에게 국민의 세금을 투입한다는 것이 민영센터에 참여못한 지국과의 형평성이 제기 되었다. 또 공동센터에서 신문사를 배제함으로 지국이 독과점화되어 만약 배달단가가 맞지 않으면 센터가 배달을 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다. 공배제도이후 인해 신문사 본사의 수혜가 없었던 것도 원인중 하나이다.


이성준이사장은 5년간 국고 1000억이 투입되어 600억이 손실났다며 손실이 나더라도 발전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고 그런 면에서 혈세를 막아야 언론사와 국민에 보탬이 된다는 판단으로 폐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5년간국고와 기금을 합쳐 879억원이 투입되었으며 이로부터자체수입 150억이 발생한 것까지 다시 투입되어 총 1030억원이 투입되었다. 이중 인건비 등 경상경비로 680억이 쓰였으며 센터에 빌려준 대여금과 임차보증금 등 회수가능한 현금성자산이 340억여원에 이르고 있다. 특히 직영센터는 5년간 누적적자가 1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