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재정위기 재발 방지해야...지정학적 리스크, 재정 취약국에 타격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유로존(유로화 사용지역)에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이 '딜렘마'에 빠졌다.

물가 상승세로 금리인상 속도를 높여야 하지만, 자칫 스태그플레이션과 재정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

ECB는 최근 긴급자산매입프로그램의 3월 종료를 재확인하는데 더해, 기존 자산매입프로그램의 종료 시점도 3분기로 계획,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그러면서도 다시 한번 '점진적 긴축'을 강조했으나, 시장은 공격적 금리인상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 유럽연합(EU) 깃발/사진=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지만, 지금의 공급 측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은 그 자체로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경기 심리를 위축시켜 수요를 둔화시키는 '긴축 효과'가 존재한다.

현재 유로존 경기는 단기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리오프닝' 기대는 존재한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물가 상승에 실질 소비가 늘어나지 못하는 상황이고, 수출 경기 역시 미국 소비자의 실질구매력 약화 및 중국의 경기 둔화 영향에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됐다.

게다가 우크라이나 이슈가 미국 중심 동맹국들과 러시아의 무역 분쟁으로 이어질 경우,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글로벌 밸류 체인에도 영향을 미쳐, 유럽 수출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더해 ECB는 긴축 과정에서 재정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주변국 금리를 관리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박민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금융시장 불안과 재정취약국의 신용부도위험스와프(CDS) 프리미엄 상승 등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 ECB는 긴축에 더욱 신중을 기할 것"이라며 "공급 측 물가상승의 긴축 효과 감안 시, ECB의 긴축은 시장 예상보다 점진적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 "6월 전후 자산매입 종료, 9월과 12월에 걸쳐 총 2%포인트 금리인상에 나서며, 점진적 긴축을 시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