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컨트롤과 AI의 진화, 더욱 섬세한 화질
액세서리의 진화…시청 경험의 혁신
시청 경험과 친환경성도 진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삼성전자 TV가 소비자 요구에 집중하며 ‘팔방미인’으로 진화하고 있다. 2022년형 삼성 QLED TV는 더욱 섬세해진 화질은 물론, 다양한 액세서리와 부가기능을 더하며 홈엔터테인먼트 머신으로 거듭났다. 삼성전자는 친환경성까지 강화하면서 미래 시장에도 적극 대응하는 모습이다.

31일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삼성전자 홍보관 딜라이트에 전시된 2022년형 삼성 네오 QLED는 다양한 스크린 경험을 선보이며 시선을 사로잡았다.

   
▲ 삼성전자 모델이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삼성전자 홍보관 딜라이트에서 2022년형 네오 QLED 8K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더욱 정교해진 화질…진화된 빛 컨트롤과 AI

네오 QLED 8K는 전작보다 한층 업그레이된 화질을 과시했다. 어두운 화면과 밝은 화면 모두에서 강점을 보여줬다. 암부 표현은 더욱 섬세해 졌고, 명부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같은 화질의 진화는 정교해진 빛 컨트롤과 업그레이된 인공지능(AI) 덕분이다. 올해 네오 QLED는 개선된 콘트라스트 매핑 기술을 통해 빛의 밝기를 기존 4096단계보다 4배 향상된 1만6384단계까지  조정할 수 있게됐다.

여기에 '셰이프 어댑티브 라이트'로 영상에 있는 사물의 형태와 표면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광원 형상을 최적화해 영상의 밝고 어두운 곳의 미세한 표현이 가능한다. '리얼 뎁스 인핸서'는 배경과 대조되는 대상을 자동으로 정해 화질을 개선한다.

삼성 독자기술인 ‘네오 퀀텀 프로세서 8K’는 20개의 독립적인 AI 신경망이 영상의 각 장면을 분석해 입력되는 콘텐츠 화질을 극대화 한다.

   
▲ 삼성전자 관계자가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삼성전자 홍보관 딜라이트에서 2022년형 네오 QLED 8K 의 화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액세서리의 혁신…TV 활용성↑

삼성전자는 올해 TV 액세서리 라인업을 대폭 강화했다. 소비자들은 실내 공간과 인테리어에 따라 다양한 맞춤형 액세서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풀 모션 슬림핏 벽걸이와 자동회전 스탠드가 눈에 띄었다. 풀 모션 슬림핏 벽걸이는 20mm만 돌출돼 TV와 벽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 필요에 따라 TV를 상하좌우로 변경할 수 있는 제품이다.

자동회전 스탠드는 세로 TV와 같은 TV를 가로와 세로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풀 모션 슬림핏 벽걸이와 자동 회전 스탠드의 가격은 각각 48만원, 60만원이다.

이밖에 프레임 TV는 소비자 기호에 따라 TV 프레임 베젤을 선택할 수 있게 했고, 슈퍼 슬림 사운드바 커버도 선보였다.

   
▲ 풀 모션 슬림핏 벽걸이와 TV 액세서리. /사진=미디어팬
   
▲ 삼성전자의 자동회전 스탠드 /사진=미디어펜

스마트 허브 강화…새로워진 스크린 경험

삼성전자는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네오 QLED를 포함한 2022년형 스마트 TV에 다양한 스마트 기능과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집어 넣었다.

삼성 스마트 허브는 보다 다채로운 사용자 경험을 지원하기 위해 미디어·매직 스크린·게이밍 허브 등의 콘텐츠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미디어’는 190개 이상의 무료 채널을 보유한 삼성 TV 플러스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해 준한다. ‘매직 스크린’은 주변 환경에 맞춘 배경화면을 제공하거나 예술 작품을 제안해 집안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여 준다.

   
▲ 삼성전자 관계자가 네오 QLED로 게임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게이밍 허브’는 원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와 최신 게임을 찾을 수 있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제공해 별도로 다운로드나 저장을 하지 않아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트히 올해는 게이밍 기능을 강화해 4개의 HDMI 2.1 포트·모션 터보 프로·4K UHD 고해상도·144Hz 고주사율·슈퍼 울트라 와이드 뷰·게임바 등 다양한 게임 기능을 강화해 보다 빠르고 생동감 넘치는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 헬스’는 운동과 건강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해 사용자의 운동 루틴과 컨디션을 모니터링해준다.

친환경 리더십 업그레이드

삼성전자는 올해 TV 제품에 친환경성을 더욱 강화했다. 우선 제품 포장 단계에서 생활 소품으로 업사이클링이 가능한 ‘에코패키지’를 통해 잉크 사용을 90% 줄이고, 철제 스테이플러 대신 접착제를 사용했다.

친환경 리모컨은 2022년형 TV 전 모델로 확대 적용된다. 친환경 리모컨은 태양광 또는 조명·와이파이 공유기 등의 무선 주파수는 물론 일반 스마트폰 충전기(C타입)로 충전이 가능해 1회용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삼성 TV의 에코 패키지 /사진=미디어펜
   
▲ 삼성전자 관계자가 친환경 리모컨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