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종료되면 소비자들 경제적 어려움...종료 신중 판단해야"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중, 미국 소비자들의 금융 상황과 신용도는 오히려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급감했으나,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 가동됐기 때문.

25일 미국 금융소비자보호국(CFPB)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CFPB가 조사한 코로나19 기간 중 미국 가계의 소득 감소 비율은 45%에 달해, 그 이전 33%에 비해 큰 폭으로 높아졌다.

코로나19 셧다운 외에도 자녀 또는 가족 돌봄을 위해 근무시간을 줄이거나, 일을 그만 둔 사례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 웰빙 지수는 지난 2019년 51.30에서 2020년 52.16, 지난해는 52.92로 지속 상승했다.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바이든 트위터


금융 웰빙 지수는 개인이 현재 및 미래의 재정적 부담을 충분히 감당하면서 삶을 즐길 수 있는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이 지수가 1.0 오르면 가계 소득이 1만 5000 달러 증가 혹은 신용점수 20점이 오르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렇게 소득 급감에도 불구, 금융 상황이 개선된 것은 정부의 지급 및 상환유예 프로그램 등, 지원정책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상환유예 프로그램의 이용자는 코로나19 발생 직전 신용점수가 658점으로 미이용자 662점에 비해 낮았으나, 2021년 6월 이후에는 오히려 미이용자보다 신용점수가 14점 더 높아졌다.

인종 별로는 백인 및 히스패닉과 흑인들의 금융 웰빙 지수와의 격차가 더욱 확대, 인종 간 신용도 차별화가 심화됐고, 소득 별로는 고소득층일수록 웰빙 지수 개선 효과가 뚜렷해, 빈부 격차도 코로나19로 확대됐다.

연령별로는 코로나19 초기 금융 웰빙 증가는 40대 이하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2021년에는 60대 이상 고령층의 퇴직소득이 운용되는 주식시장 활황으로 이들의 지수가 대폭 개선됐다.

이와 관련, 코로나19 상황 개선으로 정부 지원이 종료될 경우,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임형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정부는 경제 회복 여부와 이의 인종별·소득계층별·연령대별 차별적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지원 프로그램 종료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