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 48만5000명 늘어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3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48만5000명 증가하며 지난해 3월 이후 1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인한 숙박·음식업종의 일용직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 사업체 종사자수 및 증감률 추이./그림=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는 28일 ‘3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발표를 통해, 지난달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908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8만5000명(2.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사업체 종사자 수는 지난해 3월 이후 13개월 연속 증가세로 국내 첫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43만5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고용부 관계자는 “수출 호조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 종사자가 5만6000명 늘며 5개월째 증가세를 시현했으며, 제조업에서도 수출 호조세로 4만2000명 증가해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고, 보건·사회복지업(11만9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6만7000명)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했냐는 물음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임시·일용직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임시·일용직은 23만6000명(13.1%) 늘어난 반면, 상용직은 27만5000명(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편, 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가 포함된 기타 종사자는 2만6000명(2.2%)으로 소폭 감소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