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성진 기자]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한국협동조합학회는 ‘중소기업협동조합 60년, 나아갈 100년’을 주제로 '60년 중소기업협동조합 성공DNA 분석과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제공/(왼쪽 세 번째부터) 오동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 박노일 한국출판(조) 이사장, 정윤모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배호영 중소기업중앙회 KBIZ중소기업연구소 연구위원은 60년 장수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성공DNA를 ‘COOP’로 제시하고, 장수 협동조합이 일반 협동조합에 비해 조합원 수가 많고, 고용 창출, 조합원 수익 창출 면에서 더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배 연구위원은 “조합원 수 증가, 공동사업 활성화, 조합원 수익 증가라는 중소기업협동조합 장수 메커니즘이 있는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협동조합기본법의 일반(사업자) 협동조합을 중기협동조합법의 사업조합으로 전환시켜 조합원 수를 늘리는 한편, 공동사업 전문인력 양성, 공동판매 허용범위 확대 등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60년이 되는 장수 협동조합을 분석해보니 조합임원의 헌신(C), 조합원에 대한 전문지식제공(O), 조직변화 주도(O), 공동사업 참여(P)라는 공통적인 성공요인이 확인된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장승권 한국협동조합학회장은 “협동조합기본법상 사업자 협동조합과 비교했을 때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최근 양적 성장이 정체돼 있으며, 매출평균보다 더 낮은 조합들이 많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성격이 유사한 기본법 협동조합과의 통합 관리와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중소벤처기업부에 사업자 협동조합을 아우르는 협동조합 전담 국·과를 신설하고, 소진공의 협동조합 지원 기능을 중앙회 협동조합본부로 통합시켜 지원체계를 정비할 것”을 제안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우리 경제의 산업화에 기여해왔지만 아직 전담조직이 없어 60년 역사에 비해 체계적인 관리와 정책 추진 여건이 미흡한 실정”이라며 “중소기업 산업 정책의 관점에서라도 이제는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조직 신설을 생각해볼 시점”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