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5년 전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1일 '국내 금융권 다중채무자 현황 및 리스크 관리 방안' 보고서를 통해 "금융권 다중채무자와 이들의 1인당 채무액 규모가 급증하면서 잠재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 연령대별 다중채무자 1인당 금융권 채무액 /표=한국금융연구원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다중채무자는 451만 명, 채무액 규모는 598조8000억 원 수준으로, 2017년 말(416만6000명·490조6000억 원)보다 각각 34만4000명(8.3%), 108조8000억 원(22.1%) 증가했다.

연령대별 다중채무액을 보면 30대 이하 청년층이 32.9%(39조2000억 원) 증가한 158조1000억 원이었다. 40∼50대 중년층은 16.2%(51조2000억 원) 늘어난 368조2000억 원, 60대 이상 노년층은 32.8%(18조원) 증가한 72조6000억 원이었다.

또 대출금리 수준이 높은 제2금융권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다중채무자와 채무액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저축은행권에서의 청년층 다중채무자 수는 10.6% 증가한 50만3000명, 채무액은 71.1% 늘어난 11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노년층은 96.6% 증가한 9만5000명, 78.1% 늘어난 2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