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청년 절반, 지원 못 받아…전담 관리체계 구축 지적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보육원 등 보호시설에서 자립하는 청년 중 절반가량이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이중에서도 4명 중 1명은 자립 지원 체계 벗어난 사각지대에 노출돼 사회 안전망 강화가 요구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기존 국내 연구 결과를 통해 자립준비청년(보호시설의 보호 종료 5년 이내 청년)이 처한 현실을 분석한 '자립준비청년 지원 강화를 위한 보호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연구' 보고서(이상정 외)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보호종료아동 자립 실태 및 욕구조사'에서 자립준비청년 3104명 중 50%(1552명)가 '죽고 싶다고 생각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립청년 중 절반가량이 충분한 자립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사회 안전망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특히 이들 중 19.7%만 자살 생각이든 것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 '친구와 상담'을 들었다. '시설·그룹홈 선생님, 위탁부모님과 대화'를 하거나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경우는 각각 2.8%, 5.6%에 불과했다.

반면 절반의 자립청년들은 자살 생각이든 것에 특별한 대처를 하지 않거나 혼자서 ‘음주와 흡연’등으로 해소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립청년의 방치에는 자립지원전담기관과 전담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보호 종료 청년은 총 1만2256명에 달했다. 연 평균 2451명이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확보를 목표하는 자립지원전담인력의 수는 120명 수준으로 자립청년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체계적인 사후 관리와 정서적 지원 등 자립준비청년 전담 관리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게 됐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