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톤 증량 및 매입시기 앞당겨 시장격리 효과 기대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쌀 산지가격 하락이 지속되면서 농민들의 시장격리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예년 35만 톤보다 10만 톤을 증량과 함께 매입 시기도 앞당긴다는 방침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달 30일 열린 국무회의를 통해 ‘2022년 공공비축미 매입계획’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 벼 수확 장면./사진=경기도 제공


동 계획에 따르면 2022년산 공공비축 쌀 45만 톤은 8월 3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입한다. 8월 31일부터 11월 30일까지는 매입물량 45만 톤 중 10만 톤을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 형태로 매입하고, 10월 11일부터는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 형태로 35만 톤을 매입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2017년 이후 공공비축 쌀을 매년 35만 톤 수준으로 매입해 왔지만 올해는 매입물량을 10만 톤 확대한 것이다. 

또한 9월 중순경이었던 기존 매입 시기를 8월 말로 앞당기면서 2022년산 쌀 10만 톤을 조기에 시장 격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비축미 매입가격은 통계청에서 10월 5일부터 12월 2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사(총 9회)한 산지 쌀값의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농업인은 공공비축미 출하 직후 포대(40kg 조곡)당 3만 원의 중간정산금을 받고, 나머지 금액은 매입가격이 확정된 후 연내 정산받는다.

매입대상 벼 품종은 시·군에서 2개 이내로 지정했으며, 지정된 품종 이외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한 농업인은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대상에서 제외한다.

매입한 쌀 45만 톤 중 1만 톤은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운영을 위해 별도로 보관·관리하고 친환경 벼 7000톤을 일반벼 특등가격으로 매입해 유기농업의 날(6월 2일)에 군수용 등으로 우선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 농림축산식품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농식품부 관계자는 “공공비축 쌀 45만 톤을 전량 안정적으로 매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매입 기간 확대, 산물벼 매입 등 농가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올해 쌀 수확기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ASEAN+3 Emergency Rice Reserve’는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간에 쌀을 사전에 약정·비축하고 비상시 공여하는 국제협약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