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금리·환률 상승…기업 경영 부담이 가중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고금리’, ‘고환율’ 기조가 지속하면서 재계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이자상황 부담과 원자재 비용 등이 이 상승하면서 경영 부담이 증폭되고 있다. 이번 주 미국이 또 다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들은 난감한 모습이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기업 307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금리인상의 영향과 기업의 대응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1.2%는 “고금리로 실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어려움이 매우 많다’고 답한 기업도 26.7%였으며 ‘어려움 없다’고 답한 기업은 12.7%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은 ‘이자부담에 따른 자금사정 악화’(67.6%)가 가장 많았다. 이어 ‘설비투자 지연 및 축소’(29.3%), ‘소비위축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20.7%) 등이 뒤를 이었다.

   
▲ 수출 컨테이너 항만./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기업들이 현재 벌어들이는 영업이익과 지출되는 생산·운영비용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수익을 실현하기 위해 감내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은 ‘2.91%’로 집계됐다. 3.00%를 꼽은 기업이 41.7%로 가장 많았으나 현재 금리수준인 2.50%를 꼽은 기업도 23.1%에 달했다. 전체 응답결과의 가중평균값은 2.91%였다.

기업들은 최근 금리인상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38.8%로 가장 많았으며, ‘내년 연말’(17.6%)과 ‘2024년까지’(8.5%) 이어질 것을 전망한 기업도 적지 않았다.

고금리 피해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기업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은 20.2%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10곳 중 1곳만이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이 마련 중인 대책은 ‘비용절감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고정금리로의 전환’, ‘대출금 상환유예’ 등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물가와 환율 안정을 위해 선제적인 통화정책이 불가피하지만 그 결과가 기업의 부담이 되고 기업활동 위축으로 이어지는 딜레마 상황”이라며 “코로나 이후 사업재편, 신규사업 투자에 적극 나선 기업이나 신용도가 높지 않은 중소, 중견기업들이 체감하는 채무부담이 더욱 큰 만큼 건실한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고비용 경제상황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1400원에 육박하는 환율도 기업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재계에서는 ‘강달러’ 기조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상의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지난 4일 ‘최근 환율 상승에 대한 평가’ 보고서를 통해 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달러화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환율이 상승하는 주요 요인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고, 최근 환율 상승을 이끄는 단기 요인으로 △통화정책 정상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국제수지 악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를 꼽았다.  환율의 장기적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인구구조 변화, △해외투자 증가가 지목됐다.

보고서는 환율 상승으로 수출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동안 한국 경제가 수출을 통한 상품수지 및 무역수지 흑자를 바탕으로 성장해왔으나 최근 글로벌 달러화 강세에 기반한 환율의 상승이 수출 증가와 이에 따른 기업의 이익 증가로 이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또 기업의 외화 부채에 대한 이자부담 증가로 투자가 위축될 우려가 있고,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물가의 상승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