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국립농업과학원·한국양봉농협 업무협약
[미디어펜=이서우 기자] 농심이 꿀꽈배기의 핵심 재료인 아카시아꿀을 재배하는 국내 양봉농가 돕기에 나섰다. 

농심은 지난 15일 서울 동작구 소재 농심 본사에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한국양봉농협과 함께 양봉농가와 상생협력을 위한 ‘함께하는 양봉’ 업무협약식을 가졌다고 16일 밝혔다.

   
▲ 농심 꿀꽈배기/사진=농심 제공


이번 협약은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질병 등으로 인한 양봉농가의 벌꿀 수확량 감소와 소득 불안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뤄졌다. 농심은 우선 양봉농가와 아카시아꿀 계약생산을 맺고. 안정적인 영농활동을 보장할 계획이다. 
 
또한 벌통 내부의 습도와 온도 등을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벌통 구입지원과 꿀벌 질병 진단키트를 보급한다. 한국양봉농협에서 추천하는 우수 양봉농가 10명을 국립농업과학원이 추천한 청년 양봉농가 10명과 연결하는 멘토링 활동으로 양봉기술이 부족한 젊은 농부 육성에도 힘쓴다. 

아울러 양봉농가의 벌꿀채취를 증대시키기 위해 아까시나무, 헛깨나무 등 꿀을 많이 채취할 수 있는 밀원수를 협력해 식목할 계획이다.

농심은 계약재배로 구매한 국산 아카시아꿀을 인기스낵 꿀꽈배기 생산에 사용한다. 꿀꽈배기 1봉지(90g)에는 아카시아꿀 약 3g이 들어간다. 농심은 해마다 160톤 내외의 국산 아카시아꿀을 구매해왔다. 아카시아꿀은 꿀꽈배기 특유의 맛을 내는 주재료로 꼽힌다. 

농심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양봉농가의 생산 기술 향상은 물론, 안정적인 판매경로 확보로 인한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며 “국산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국내 농가의 영농활동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기업과 농가가 함께 성장하는 모범적인 상생사례를 계속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농심은 2021년부터 감자를 재배하는 청년농부를 육성하는 ‘청년수미’ 프로그램도 추진하고 있다. 올해도 청년농부가 수확한 감자 130톤을 구매해 수미칩 생산에 활용했다.

[미디어펜=이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