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부동산부 김준희 기자
[미디어펜=김준희 기자]“대형 건설사는 몰라도, 중소형 건설사는 올해가 생존이 걸린 해가 될 겁니다.”

연초 건설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관계자와 만났을 당시 들었던 말이다.

그의 말이 현실로 다가오는 분위기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코리아신탁은 지난달 20일 시공사 우솔산업개발의 부도 발생이 확인됐다고 공시했다. 폐업일자는 지난 4월이며 해당 현장은 지난해 8월 31일 기준 공정률 96.63%에서 9월부터 공사가 중단됐다.

코리아신탁은 ‘경영 악화로 인해 공사 중단 및 사업자 폐업’이라고 사유를 밝혔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주택 브랜드 ‘해피트리’를 보유한 중견 건설사 신일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일은 1985년 설립된 중견 건설사로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113위의 업체다.

지난 4월에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109위의 중견 건설사 대창기업이, 3월에는 범현대가 IT·건설 기업인 에이치엔아이엔씨(HN Inc)가 각각 법정관리 및 법인회생을 신청한 바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6월 31일까지 폐업신고한 건설업체는 총 1794개다. 전년 동기(1413개) 대비 26.96%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16일 기준 올해 부도난 건설업체는 총 6곳으로 집계됐다.

최근 서울 동작구 일대 ‘흑석자이’ 무순위 1차 및 계약취소주택 등 2가구 공급에 약 93만명이 몰리면서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지만, 건설업계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분양시장 양극화로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 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원자잿값 인상으로 인한 공사원가 상승 등 유동성 및 수익성 측면에서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 중견·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줄도산'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미분양 주택은 총 6만8865가구로 이 중 지방 물량(5만8066가구)이 전체의 84.3%를 차지하고 있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또한 지방 물량이 7276가구로 전체 8892가구 중 81.8%에 달한다.

또 최근 시멘트업계가 이달 1일자로 시멘트 가격을 14%가량 인상하겠다고 밝히는 등 공사원가 상승 요인도 여전하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건설 분야 물가지수인 건설공사비지수는 지난 4월 기준 151.26으로 2021년 4월 128.65, 2022년 4월 145.85에서 크게 올랐다.

하반기 전망 또한 어둡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에 따르면 올해 건설수주는 지난해 역대 최대치였던 229조7000억 원에서 올해 12.9% 감소한 200조100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는 단순히 건설사들의 생존 여부만이 달린 문제는 아니다. 현장에서 공종별로 공사를 수주하는 수많은 하청업체를 비롯해, 넓게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을 주관하는 금융업계까지 리스크가 확산될 여지가 있다. 국가 경제를 놓고 봐도 건설업은 지난해 기준 국내총생산(GDP) 15.4%를 차지하고 200만명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핵심 중추산업이다.

건설업계 위기가 국내 부동산 시장 및 국가 경제 전반의 위기로 확산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연착륙을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때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