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때 서훈 추진, 심사서 부결…당시 보훈처 "친북 행적 뚜렷"
6.25 당시 중공군으로 참전…조선인민군·中인민해방군 군가 작곡
대한민국 부정한 김일성 부역자…생가·음악제·거리·흉상까지 광주에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정율성. 1939년 중국공산당에 가입해 중국 인민해방군 행진곡을 작곡했으며, 김일성의 남침으로 발발한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의 일원으로 전선 위문 활동을 한 후 중국으로 귀화한 인물이다.

전남 광주 태생으로 해방 전 중국에서 의열단(항일 독립운동단체) 활동을 했고, 1945년 해방 후 월북해 김일성 정권에 부역했다. 구체적으로 1947년 봄 평양으로 이주해 북한 조선인민군 협주단을 창설해 초대 단장을 역임했다. 조선인민군 행진곡을 작곡해 김일성에게 바쳤다.

6·25 전쟁에서는 개전 초기 서울까지 내려왔다가 1950년 10월 중국으로 돌아갔고 1951년 북경예술극원 합창대 부대장이 된다. 당시 중공군 군가를 작곡했고 1956년 귀화했다. 정율성이 작곡한 중국 인민해방군 행진곡(구 팔로군 행진곡)은 중국군 공식 군가로 사용되고 있다. 360여곡을 작곡한 정율성은 중국 공산당 혁명음악의 대부로 꼽힌다.

   
▲ 2009년 1월 29일 오전 광주 남구 양림동에서 '정율성로' 개통식이 열려 황일봉 광주 남구청장, 광주시·남구의회 의원,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해 전시관 현판 제막식을 갖고 있다. 당시 정율성 생가 문제로 광주 남구와 갈등을 빚고 있는 정율성기념사업회 관계자 10여명이 몰려와 항의하는 등 30여분간 행사가 지연됐다. /사진=연합뉴스

2009년 중국 정부가 선정한 신중국 창건 영웅 100인에 이름을 올린 정율성은 위 이력에서 확인했다시피 뼛속 깊이 공산주의자다. 중공 및 북한 김일성에게 적극 부역했다는 점 때문에 문재인 정부 당시 독립유공자 서훈이 부결됐을 정도다.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2017년 12월 정율성의 조카 박 모 씨는 경기남부보훈지청에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을 했고, 이는 독립유공자 공적심사위원회 심사 과정에서 부결됐다.

정율성이 북한에게 적극 부역한 구체적인 기록이 많았다는 이유에서다. 의열단이든 뭐든 어떤 명분을 대더라도 북한에 부역한 행적이 너무나 뚜렷해 서훈이 불가능했다는게 국가보훈부 설명이다.

최근 광주광역시가 총 48억원을 들여 추진 중인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이 논란에 휩싸였다. 정율성의 역사는 반대한민국 그 자체였다는 평가가 높기 때문이다.

정율성 논란의 시작은 지난 2005년 광주 음악제 개최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중국 순지아젱 문화부장과 정율성의 외동딸 정소제 씨는 8월 10일 광주 남구 양림동에 있는 정율성 생가를 방문했다.

그 다음 달인 2005년 9월 27일 중국 베이징 대외인민우호협회 연회장에서 열린 '제1회 정율성 국제음악제' 기자회견 및 광주전남 관광설명회에서 광주시 남구청과 중국 여행사들은 관광객 유치 협약식을 갖기도 했다.

제1회 정율성 국제음악제는 같은해 11월 11일 광주 문예회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듬해인 2006년 9월 19일 정율성의 탄생 기념비가 광주 동구 불로동에 세워졌고, 정율성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 제작 발표회가 2008년 1월 17일 열렸다.

2009년 1월 29일 광주 남구 양림동에서는 '정율성거리전시관' 등 '정율성로' 개통식이 열렸고, 같은해 7월 15일 광주 남구 양림동의 한 아파트 단지 입구에 정율성의 흉상이 조성됐다.

2010년 8월에는 정율성 생가가 어디인지를 놓고 광주 동구 불로동과 광주 남구 양림동이 수년간 갈등을 빚어온게 지역 이슈가 됐을 정도다.

2015년 10월에는 당시 윤장현 광주시장, 최영호 광주 남구청장, 노희용 광주 동구청장, 구충곤 전남 화순군수 등이 간담회를 열어 정율성의 항일투쟁 및 예술정신 계승을 위한 논의를 나누었다.

현재는 정부와 광주시가 전면적으로 충돌하고 있는 양상이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광주시가 추진 중인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의 철회를 공식 요구하자, 강기정 광주시장은 "정율성 선생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중 우호에 기여한 인물로 꼽은 인물"이라며 "적대 정치는 그만하고 우정의 정치를 시작하자"고 반박했다.

광역지자체가 지금처럼 끝까지 정율성 기념사업을 고집하겠다면 현행법상 중앙정부가 막을 순 없다. 국민의힘이나 국가보훈부가 법적으로 이를 철회시킬 수단은 없다.

문제는, 이러한 지자체의 고집 때문에 '광주의 뿌리'가 자유와 민주를 외친 시민들의 저항 정신에 있는게 맞는지 의심이 커진다는 점이다. 오히려 대한민국 침략자·공산당 부역자를 찬양·미화하는게 광주의 정신이라는 비아냥을 들을 가능성이 높다.

정율성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할수록, 정율성이 대한민국 침략자였다는 사실이 더 굳어진다. 그런데 정율성 생가, 음악제, 거리, 흉상까진 모르겠지만 국민의 혈세 48억원을 들여 기념 역사공원까지 조성한다니. 선을 넘어도 한참 넘어버린 광주의 모습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스스로 바꾸지 않는한 그 누구도 바꾸어주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