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류 저지' 단식농성‧장외집회에도 정당 지지율 견인 실패
처리수 방류 맞춰 총력전 돌입했지만…사법 리스크 벽 당면
"민감도 달라" vs "적대적 공생"…정치권, 여론전 평가 분분
[미디어펜=최인혁 기자]더불어민주당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 방류를 규탄하는 여론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정부여당에게 불리한 처리수 이슈를 활용하고도 정당 지지율 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한 바 있어, 재도전을 통해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해양 방류를 대여투쟁의 수단으로 활용한 바 있다. 특히 지난 6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원전 처리수 해양 방류에 대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한 것을 계기로 여론전 수위를 더욱 끌어올렸다. 안전에 대한 우려를 활용해 정국 주도권 확보를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민주당은 지난 3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재갑 의원이 삭발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처리수 투쟁에 막을 올렸다. 5월에는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등 야권과 연대한 범국민 서명운동에서 187만여 명의 항의 서명을 받아 정부를 압박키도 했다.

   
▲ 10월 22일 서울 도심에서 촛불승리전환행동을 비롯한 진보단체의 집회가 김건희 특검, 윤석열 퇴진을 요구하는 제11차 전국 집중 촛불대행진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자료사진)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어 6월에는 윤 의원과 우원식 의원이 국회에서 최대 15일간 단식농성을 진행했고, 7월에는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및 보좌진들이 1박 2일간 국회에서 원전 처리수 방류를 반대하는 철야 농성을 펼쳤다.

하지만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여론전에 나섰음에도 이를 통해 정당 지지율을 견인하는 것에는 사실상 실패했다. 직면하지 않은 상황에서 실효적이지 못한 투쟁으로 국민적 호응을 유도하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괴담’과 ‘선동’이라는 정부여당의 프레임 공세를 극복하지 못한 것도 패착으로 여겨진다.

이에 지난 24일 일본의 원전 처리수 방류에 따라 재추진하게 된 여론전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다. 야권은 처리수 방류가 시작된 현재 이를 대하는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기에 이전과 달리 여론전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지난 23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여론전의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 "(처리수) 방류 이전과 이후의 민심은 다를 것"이라면서 "국민 체감도와 민감도가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앞선 여론전이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 아니라, 사법 리스크에 가려졌던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미디어펜과의 만남에서 최근 민주당 지지율이 30%대에서 답보한 것에 대해 “오염수 이슈가 있었으니 그나마 (사법 리스크에도) 지지율이 답보라도 한 것”이라며 “오염수를 통한 여론전이 지지율에 반영이 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지지율 하락을 방어한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선 처리수 여론전이 당 지지율 견인 역할을 충분히 했고, 오는 26일 총궐기대회를 기점으로 증명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정치권 일각에서는 유의미한 성과보다 여야의 적대적 공생 관계만 심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만큼, 민주당의 사법 리스크도 비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본의 원전 처리수 해양 방류를 전후로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도 탄력을 받고 있다. 지난 17일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소환 조사를 진행한지 약 일주일 만에 검찰은 이 대표를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으로 또 소환 통보했다.

더불어 이 대표의 최측근인 박찬대 민주당 최고위원, 천준호 당대표 비서실장에 대해서도 이 대표의 수사를 방해한 의혹을 제기하고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한 정치권 관계자는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이제 민주당은 사법 리스크를 후쿠시마 오염수 이슈로 덮으려고 할 것이고, 국민의힘은 오염수 방류 문제를 사법 리스크로 상쇄하려고 할 것”이라며 “총선까지 서로 주고받는 적대적 공생 관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여론 또한 답보 상태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